He's Column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르헨티나전, 문제는 실력이 아니라 선수들의 정신력! 이번 아르헨티나전은 회사 직원들과 함께 응원하였다. 그런데 시종일관 재미없는 경기의 연속이었다. 전반 막바지에 터진 이청용의 골을 빼면 그다지 인상적이었던 적이 단 한번도 없었던 것 같다. 물론 염장이 옆 그물망을 흔들었던 슈팅이 생각나기는 하지만 그것도 그리 인상적이지 못했다. 그렇다면 도대체 뭐가 문제였을까? 나는 대한민국 태극전사의 정신력에 문제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청용을 비롯한 태극전사들은 아르헨티나에 전혀 주눅들지 않았다고 인터뷰를 하긴 했지만 막상 경기장에 들어서자 아르헨티나의 막강한 화력앞에 주눅들기 시작했다. 볼 트래핑도 엉망이었고.. 패스도 엉망이었다. 특히 볼 트래핑... 그래도 기술적으로는 많은 발전이 있었다고 생각했던 대한민국이었는데... 어찌 그리 볼 트래핑을 못하는가? 아르헨.. 더보기 넥슨에서 선보인 소셜네트워크게임, 넥슨별! 그 특별한 재미에 빠져보자! 카트라이더 때문에 넥슨(http://www.nexon.com/)에 자주 들렀던 기억이 난다. 그때가 2003년이었나... 게임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나이지만 카트라이더는 재미있게 즐겼었다. 하지만 그 이후 카트라이더를 안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넥슨에는 들어가보지 못했었다. 그러다가 얼마전에 3차원 소셜네트워크게임인 넥슨별(http://star.nexon.com/home/main.aspx)을 런칭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요즘 워낙 소셜에 관심이 많고 소셜게임 관련 포스팅도 해봤기 때문에 관심을 안가질레야 안가질 수 없었다. (관련포스트: http://ggamnyang.com/690) 넥슨별은 다양한 채집, 채광, 낚시 등이 생산활동을 통해 별을 만들어가고 아이템을 교환하거나 거래할 수 있는 소셜네트.. 더보기 시맨틱검색 큐로보! 한뼘검색과 집중조명 2009년 3월에 시맨틱검색을 자처하는 큐로보와 아울림을 소개한 적이 있다. (관련 포스트: http://ggamnyang.com/488) 1년이 지난 지금은 어떤 모습일까? 우선 아울림(www.owlim.com)은 1년전이나 지금이나 별다른 차이가 없다. 메인 UI도 똑같고 검색결과도 별반 나아진게 없다. 큐로보(www.qrobo.com)는 어떨까? 큐로보는 나름 많은 발전이 있어 보인다. 사실 워드프레스를 이용한 블로그 서비스인 큐로보프레스(blog.qrobo.com/)에 관심이 많아서 얼마전에도 방문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티스토리에 비해 별다른 장점을 발견하지 못했기에 알고만 있는 수준이랄까~ 큐로보의 시맨틱검색을 보니 특징적인 것 두가지가 눈에 띈다. 바로 한뼘검색과 집중조명이다. 현재 가장 .. 더보기 [서평]김치군님의 특별한 해외여행 백서! 진짜 여행 백서였네요~ ^^ 여행블로그로 유명하신 김치군님(http://kimchi39.com/)이 해외여행 백서를 내셨습니다. 정확한 책명은 '지구별 여행자를 위한 특별한 해외여행 백서' 입니다. 좀 길죠잉~~~ ㅋㅋ 사실 결혼하고는 여행다운 여행을 가본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결혼전에는 레저도 많이 즐기고, 여행도 많이 다녔던 것 같은데 말이죠~ 그래서인지 여행블로그는 많이 찾지 않았었습니다. 하지만 김치군님의 명성은 익히 알고 있었죠~ ^^ 이번에 500페이지가 넘는 책을 내셨다고 하셔서 어떻게 꾸미셨는지 너무 궁금했습니다. 그런데 책을 받아보고 진짜 너무나 놀랐습니다. 정말 여행백서를 만드셨네요~ ㅎㅎㅎ 김치군님의 지식, 정보, 노하우... 모든 것을 담으신 것 같습니다. 해외여행, 특히 배낭여행을 가고자 하는 분들에게는 필.. 더보기 소셜 게임, 게임에 부는 소셜 바람~ 게임 업계에 소셜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물론 소셜 게임은 그리 낫선 존재는 아니다. 우리는 이미 오래전에 싸이월드의 플래시게임을 접해봤기 때문이다. 싸이월드 플래시게임을 일촌에게 제공하고 일촌끼리 게임을 통해 경쟁했던 기억이 난다. 필자가 2008년 진행했던 국정원 안보이벤트에서도 싸이월드 미니홈피 플래시게임을 통해 작은 이벤트를 했던 기억이 난다. 방법은 간단하다. 일촌을 대상으로 플래시게임을 제공하고, 일정기간 동안 가장 많은 포인트를 획득하는 회원에게 도토리를 지급하는 형태이다. 물론 그때 당시에는 소셜 게임이라는 용어가 없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소셜 게임의 원조 였던게 분명하다. 소셜 게임은 소셜 네트워크에 게임 요소가 결합된 형태의 놀이로, 싸이월드나 페이스북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더보기 페이스북 소셜플러그인인 Like버튼 설치 페이스북에서 오픈그래프 전략의 하나로 발표한 소셜플러그인인 Like버튼을 '깜냥이의 웹2.0 이야기!' 블로그에도 설치하였다. 사실 Like버튼은 블로그 뿐만 아니라 쇼핑몰, 뉴스사이트, 개인홈페이지, 커뮤니티 등 어디에 든지 설치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다. 자세한 설치방법은 다음 블로그를 참조하면 된다. http://paperinz.com/1844 http://blog.still.pe.kr/569 아주 간단하게 몇가지 설정만 하고 생성되는 소스를 블로그에 넣기만 하면 된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Like버튼은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일까? 물론 블로그 운영자는 많은 사람들이 Like버튼을 클릭하여 자신의 블로그 글이 더욱 많은 인기를 얻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Like버튼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개인 프.. 더보기 2010 월드IT쇼에 다녀왔습니다. 근데 예쁜 모델 사진만 찍어왔네요~ ^^ 5월 25일부터 28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월드IT쇼(www.worlditshow.co.kr)에 다녀왔습니다. 정말 재미있는 기술들이 많이 선보이더군요... 그중에서도 역시 KT와 삼성이 가장 눈부셨던 것 같습니다. IT의 화두가 스마트폰이다 보니 당연하겠죠? 월드IT쇼에 가서 사진 몇장 찍어왔습니다. 그런데 와서 보니 정작 중요한 사진들은 없고 이쁜 도우미 사진 뿐이군요... ㅋㅋㅋ 1. 지하철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뷰입니다. 2. 디지털뷰에 있던 도우미들... 이걸 왜 찍었을까? ㅎㅎㅎ 3. KT 부스에 있던 참하게 생긴 도우미.. 사진 찍으면 사탕을 준다는 꼬임에 빠져 그만 사진을 찍고 말았답니다. 4. SK에서 월드컵 관련 이벤트를 진행하는데 어떤 애기가 너무나 귀엽게 놀고 있길레 한컷~ 5.. 더보기 착한소비, 당신의 선택은? 우리가 무심코 마시는 커피에서 무슨 일들이 벌어지고 있을까? '식량전쟁'의 저자 라즈 파텔(Raj Patel)의 주장에 따르면, 스위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식품기업 네슬레(Nestle)가 판매하는 커피의 시장가격은 kg당 평균 26달러이고, 원산지 커피의 매매가격은 kg당 14센트에 불과하다고 한다. 가격차이가 무려 185배가 넘는다. 에티오피아에서 커피 원두를 전량 수입, 판매하는 한 전문업체의 경우, 커피 농장에서 원두 1kg를 약 300원에 사들여 전 세계 매장에서 평균 25만 원에 판매한다는 통계자료가 나와 있다. 다른 생산요소의 투입이 있었다 하더라도 무려 830배의 폭리를 취하고 있는 셈이다. 에티오피아에는 1500만 명의 커피 노동자들이 있고, 이들 중 대부분이 하루 1달러 미만의 임금을 받.. 더보기 빙(Bing)의 현재 모습은 실망 그 자체 MS Bing(http://www.bing.com/)이 선을 뵌지 꽤 된 것 같다. 사실 구글의 독점체제를 어느 정도 무너뜨릴 것이라는 기대가 무색할 만큼 전혀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다. MS는 빙(bing)이 검색엔진이 아닌 `의사결정엔진(Decision Engine)`이라고 설명했다. 구글처럼 네티즌 클릭 수에 따라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개발한 기술을 통해 네티즌이 무엇을 검색하고 요구하는지 미리 알고 그 결과를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키워드에만 걸렸다고 의미없는 문서링크를 뿌려대는 기존 방식이 아닌 '낚이지 않는 검색엔진'을 표방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빙은 다음과 제휴하여 다음의 검색결과는 보여주는 수준에서 그치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다음의 검색결과와는 조금 다르겠.. 더보기 실속은 페이스북, 그들의 행보가 주목받는 이유는 바로 실속 때문 시장 조사업체 컴스코어에 따르면 페이스북이 지난 1분기 전체 배너광고의 16.2%를 차지하면서 야후, MS를 제치고 1위에 올라섰다고 한다. 대표적인 SNS인 페이스북이 높은 유치 실적을 올린 것은 방문자들이 비교적 긴 시간을 사이트에 머물면서 더 많은 페이지를 보여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 4월 미국 디스플레이 광고 시장에서 페이스북은 20%의 점유율을 보임으로써 전년 동기 2%에서 10배 이상 급성장하는 등 광고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트위터가 세간의 이슈이지만 정작 돈은 페이스북이 벌고 있는 것이다. 실속을 챙기는 페이스북! 그래서 더 무섭다! SNS의 장점은 회원이 무엇에 관심이 있고 무엇을 좋아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SNS에 빠지다 보면 시간가는줄 모르고 사이.. 더보기 이전 1 ··· 68 69 70 71 72 73 74 ··· 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