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s Column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평]백만 방문자와 소통하는 블로그 마케팅 백만 방문자와 소통하는~ 이라는 문구만 봐도 가슴이 뛴다. 왜냐하면 백만 방문자와 소통하는 시리즈를 탄생시킨 책이 바로 "100만 방문자와 소통하는 파워블로그 만들기" 책이기 때문이며, 내가 그 책의 공저자 5인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번에 신간 '백만 방문자와 소통하는 블로그 마케팅' 책이 나왔다. 사실 블로그 마케팅 책은 너무나 많이 나온 상태이다. 하지만 이 책이 끌리는 건 바로 부제로 나와 있는 "콘텐츠로 승부하는 블로그 마케팅의 정석"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책의 저자인 조재형님은 유명한 블로거이기도 하지만 대기업들의 소셜마케팅을 직접 실행하고 있는 마케터라는 점에서 다른 블로그 마케팅 책과는 다른 차별점을 가진다. 그냥 블로거의 시각이 아니라 마케터의 시각에서 책이 써졌으며, 다양한 사례들과 .. 더보기 소기업의 유튜브 동영상 마케팅은? - 제15회 토크세미나 최근의 디지털 온라인 마케팅 트렌드를 보면 콘텐츠의 중요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페이스북은 동영상 콘텐츠를 높게 평가하여 동영상을 올리게 되면 유기적 도달율이 크게 늘어난다. 보다 많은 팬들, 그리고 보다 많은 친구들에게 콘텐츠가 보여지게 되는 것이다. 블로그또한 마찬가지다. 블로그 포스트에 동영상이 삽입되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노출 순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동영상은 콘텐츠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다. 기획 단계에서부터 엄청난 아이디어 고민이 필요하고 제작 단계에서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그래서 세계 최대의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가 무서운 경쟁력을 갖게 된 것이다. 하지만 잘 만든 동영상은 엄청난 파급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유용하고 재미있는 동영상은 순식간에.. 더보기 메르스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중동호흡기증후군인 메르스가 확산되면서 대한민국 경제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외국 관광객이 줄어드는 것 뿐만이 아니라 국내 소비 등 내수시장에서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사진 출처: SBS) 삼성증권은 중국 관광객의 10% 감소는 1조5천억원에 달하는 국내 소비 위축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2003년 중국에서 사스가 유행했을 때 중국 성장률의 30%가 잠식되기도 했다. 중국 유우커 등의 한국 관광이 잠시 동안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여행 관련 기업의 주가가 급락하고 있는 것만 봐도 외국인들이 메르스를 바라보는 시각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국민들의 소비 심리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 5월 31일 이마트에 다녀왔는데, 너무 한산해서 깜짝 놀랐다. 대부분 사람 많은 곳에 가지 않고 집에서 .. 더보기 왜 네이버 블로그는 댓글이 아닌 덧글이라고 할까? 요즘은 티스토리보다는 네이버 블로그로 많은 블로거가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티스토리 유명 블로거라고 해도 네이버에 서브 블로그를 하나 더 만들어서 운영하는 블로거가 여럿 있다. 물론 나의 경우에는 블로그 마케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네이버 블로그가 더욱 친숙해 지고 있다. 그런데 말이다. 왜 네이버 블로그는 댓글이 아닌 덧글이라고 할까? 분명 포스트 내용에 대해 의견을 다는 것이기 때문에 댓글이 맞는데 말이다. 궁금해서 사전을 찾아 봤다. 사전에서는 "댓글"을 "인터넷에 오른 원문에 대하여 짤막하게 답하여 올리는 글"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우리말 바로 쓰기에서는 덧글이 아닌 댓글이나 답글이라고 써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자세히보기: http://krdic.naver.com/resc.. 더보기 모바일마케팅이 대세인 지금, 가장 절실한 모바일마케팅 특강이 열린다! 대부분 모바일마케팅이 대세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카카오스토리를 비롯해 밴드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려는 움직임이 많은 이유다. 이제는 많은 기업들이 "퍼스트 모바일"에서 "온리 모바일"로 사업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무엇보다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라든가 'IoT'와 같은 모바일 기반 산업군들이 각광받으면서 모바일 분야가 전체 산업군으로 확대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마케팅 관련 강의를 보면 대부분 "카카오스토리로 매출 올리는 방법" 등에 국한되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정작 중요한 모바일마케팅은 무엇인지, 어떻게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것인지, 통합 마케팅에 대한 고민 등이 없는게 현실이다. 모바일마케팅을 통해 매출을 올리려고 혈안이 되지 말고 우선 기본으로 돌.. 더보기 페이스북 마케팅, 엣지랭크 알고리즘부터 다시 시작하자! 최근 페이스북 마케팅이 난항을 겪고 있다. 페이지의 도달율이 현저히 떨어지면서 페이지의 팬을 늘려도 큰 효과를 볼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팬에게 도달하는 비율이 100%에 육박할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5~6% 수준에 머물고 있다. 팬이 10,000명이라도 게시물이 도달하는 팬은 500명 수준인 셈이다.(도달율을 30% 정도로 알고 있었으나 업계 평균이 5~6%라는 제보가 있어서 수정함) 결국 팬수를 늘리는 마케팅은 이제 큰 의미가 없다. 이제는 팬들, 그리고 팬의 친구들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기획하여 제공하는 것만이 살길이다. 도달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도달된 팬들에게서 보다 많은 '좋아요'와 '공유'를 이끌어 내야 한다는 이야기다. 이제 다시 페이스북 노출 알고리즘인 엣지랭크를 다시 돌아봐야 할 .. 더보기 쇼핑몰 마케팅은 끊임없이 돌아가는 물레방아와 같은 것이다! 가끔 블로그 마케팅, 소셜 마케팅 등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하지만 자기 자신은 마케팅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서 하는 강의는 공허하기만 하다. 이런 강의는 이론뿐이고 전혀 실전적이지가 않다. 한때는 나도 이론 강의만 좋아했지만 지금은 아니다. 실전에 써먹지 못하는 강의는 의미가 없다. 그래서 나또한 라이프쇼핑(www.lifeshopping.net)이라는 쇼핑몰을 오픈해서 운영하고 있다. 확실히 쇼핑몰 마케팅은 쉽지 않다. 사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단골 고객이 생기고 할줄 알았는데 재구매 고객은 몇 되지도 않는다. 결국 끊임없이 새로운 고객을 찾아 마케팅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매출이 발생해서 잠깐 방심하고 있다가는 바로 매출이 뚝 떨어진다. 이건 블로그 마케팅을 하건 페이스북 마케팅을 하건 마찬가지다.. 더보기 웹2.0과 플랫폼.. 사실 굉장히 많이 닮아 있다! 2006년 10월부터 9년 동안 "깜냥이의 웹2.0 이야기!" 블로그를 운영해 왔다. 벌써 9년이라니.. 장난하나? ㅋ 사실 웹2.0이 한창 뜨다가 지금은 거론 조차 되지 않는 키워드가 되었다. 한 때는 웹2.0이 세상을 바꿀 것 처럼 떠들더니 말이다. 그런데 지금 생각해 보면 결국 웹2.0은 플랫폼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참여, 공유, 개방의 웹2.0 정신이 결국은 오늘날 이야기하는 플랫폼의 개념과 많이 닮아 있다. 웹2.0 = 플랫폼 아니.. 같다는 의미는 아니고 웹2.0을 더 넓게 생각하면 플랫폼의 개념에 포함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사실 블로그 이름으로 웹2.0을 버릴까 고민중이다. 웹2.0이 잊혀진 단어가 된 지금 언제까지 웹2.0을 달고 있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서 생각한 이름.. 더보기 모바일서울 앱, 버스도착정보 기능 및 UI를 획기적으로 개편 버스도착정보 기능 및 UI를 획기적으로 개편한 '모바일서울' 앱 서울시 모바일 대표 서비스인 ‘모바일서울’ 앱이 버스도착정보 기능 및 UI를 획기적으로 개편해 오픈했다. ‘모바일서울’ 앱은 서울시 홈페이지 모바일버전이다. 서울 생활에 꼭 필요한 교통정보, 대기정보, 문화정보 등 깨알 같은 정보들을 모바일 앱으로 제공해주고 있다. '모바일서울‘ 버스도착정보 개편 소식은 ’모바일서울‘ 푸쉬 알림을 통해 알게 되었다. 4월 21일 오전에 ’모바일서울‘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으로 알림을 받은 것이다. [교통 기능 개편을 알리는 모바일서울 푸쉬 알림 화면] 역시 설치해 놓으니깐 정보도 빠르게 받을 수 있어서 좋았다. 버스도착정보는 ‘모바일서울’ 내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메뉴라고 한다. 많은 서울시민들이 버스도착.. 더보기 페이스북 알고리즘 변경, 페이스북 페이지 마케터는 어떻게 해야 할까? 페이스북 알고리즘이 변경된다고 한다. 페이스북 알고리즘은 '친구' 활동을 상단에 보여주고, '페이지' 콘텐츠 노출은 하단에 노출한다는 계획이다. 결국 페이스북 페이지의 노출율과 도달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페이스북 페이지의 유기적 도달율이 떨어지는 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몇 달전에도 이런 이슈가 있어서 페이스북 페이지의 도달율이 많이 떨어지기도 했다. 광고비를 내고 페이지를 운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는데, 이제는 광고비를 지출하고도 제대로 노출이 되지 않을 수도 있게 되었다. 물론 뚜껑을 열어봐야 알겠지만 현재로써는 기업이 운영하는 페이지가 마케팅 효과를 보기가 상당히 힘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팬을 대량으로 확보하고 있으면서 광고를 올려주고 돈을 벌고 있는 페이스북 페이지들도 .. 더보기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