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s Column/IT

[앵그리버드]작다고 얕보지 마라! 크기를 넘어서는 짱짱한 음량의 앵그리버드 미니 스피커! 깜냥 윤상진이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에서 앵그리버드 미니 스피커 체험단도 운영하고 있고 공동구매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체험단 모집할 당시에 정말 장난아닌 경쟁율을 보이기도 했답니다. 10명 모집에 300명이 넘는 블로거가 신청해서 선정에 애를 먹었죠~ 너무 깜찍하고 귀여워서 일꺼에요~ ^^ 워낙 예뻐보여서 저도 체험단을 하고 싶었지만 도저히 할 수가 없었습니다. 10명 모집에 300명이 넘게 신청하셨는데 워낙 쟁쟁한 분들이 많아서 말이죠~ 아무리 주최자라 해도 그러면 안되겠죠.. ㅠㅠ 그래서 그냥 사버렸습니다. 블로그와이드에서 체험단과 함께 공동구매도 진행하고 있거든요~ 정가 41,000원 하는 앵그리버드 미니 스피커를 15% 저렴한 가격인 34,800원에 구매한 것이죠.. 더보기
야후와 오버추어의 한국시장 철수가 가져올 파장은? 야후코리아와 오버추어가 한국시장에서 철수한다. 야후가 한국시장에 진출한 이래 15년만이라 한다. 야후의 비즈니스를 개선하고 장기적 성장을 위해 글로벌 비즈니스를 수립하는데 자원을 집중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라고는 하지만 더이상 한국 시장에서 버틸 여력이 없어 보인다. 야후 본사 발표문 보기: http://ycorpblog.com/2012/10/18/korea-statement/ 현재 야후의 전체 랭키순위는 24위다. 얼마전에 기고한 베타뉴스 칼럼에서 더이상 포털이라 불리기도 힘든 상황이라 이야기한 적이 있다. (베타뉴스 칼럼보기: http://betanews.net/article/569073) 실제로 이 칼럼을 작성하고 1주일도 안되서 야후는 한국시장에서의 전면적인 철수를 발표했다. 1995년 인터넷 .. 더보기
네이트 시맨틱 검색은 어떻게 된 것일까? 3~4년 전 즈음에 시맨틱웹이 적용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기획했던 경험도 있다. 그래서 시맨틱 웹에 대해서는 일천한 지식이기는 하지만 아주 조금의 지식이 있기는 하다. 그 즈음에 시맨틱웹 열풍이 불기도 했었으니 나는 항상 IT 트렌드의 중심에 있었음이 분명하다. ^^; 21세기북스에서 미래 비즈니스 키워드 1편으로 출간된 에서도 시맨틱 웹과 시맨틱 검색에 대해 비중있게 소개했었다. 이 시기에 발빠르게 시맨틱 검색을 도입한 포탈이 있었으니 바로 네이트다. 2009년 9월, 네이트는 시맨틱 검색을 도입했다. 시맨틱 검색 적용과 함께 대대적인 홍보를 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시맨틱 검색은 사용자의 검색 의도와 질문의 의미를 검색 엔진이 스스로 파악하여 카테고리화 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검색 서비스다. 물.. 더보기
구글, 지지부진한 서비스 대청소 시작! 공룡기업도 어쩔 수 없는 서비스 종료 바람 구글은 미국시간 9월 29일 주력 사업에 자원을 집중하기 위해 몇 가지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래리 페이지가 CEO로 취임한 이래 구글이 부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는 8번째 ‘대청소’가 되며, 8가지 서비스가 그 대상이다. 불필요한 리소스는 줄이고 주력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뜻이기는 하지만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해 왔던 사용자에게는 많은 불편이 예상된다. 먼저 피드용 애드센스 서비스가 종료된다. 10월 2일부터 피드 광고 신규 이용이 불가능해지며 현재 이용 중인 유저는 12월 3일부터 피드 광고 게재가 정지된다. RSS 서비스인 피드버너(FeedBurner) 서비스 제공은 계속되므로 구독자를 리디렉트하는 등의 변경은 필요 없다. 사진 공유 서비스인 피카사(Picasa) 웹 앨범용 무료 스토리지가 구.. 더보기
보안서버 의무화? 도대체 무엇을 보호하겠다고? 얼마전에 한국인터넷진흥원(http://kisa.or.kr/)으로부터 개인정보보호 의무조치를 미이행했다고 개선안내 메일을 받았다. 뉴스플랫폼인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에 개인정보 수집, 이용 등에 대한 고객의 동의 절차가 미흡하고 보안서버를 미 적용 했다는 것이다. 예전에도 이런 메일을 받긴 했지만 그때는 주민번호를 받지 않는 것으로 회원가입 폼을 변경하여 넘겼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받는 모든 웹사이트에 보안서버 적용이 의무라는 것이다. 정말 의문이다. 로그인을 받는 모든 웹사이트에 보안서버 의무화라..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대한 고객 동의야 그렇다고 하더라도 보안서버를 모든 웹사이트에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은 매우 불합리해 보인다. 회원가입과 로그인이 있는 모든.. 더보기
대체 LG유플러스 와이파이존은 어디 있다는거야? 뉴스플랫폼인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에 "LG유플러스 와이파이 실명인증 정책 바뀐다"라는 제목의 기사가 올라왔다. 기사보기: http://blogwide.kr/article/18903 LG 유플러스가 실명인증을 통해 약 15초 정도의 광고를 시청하게 되면 자사의 와이파이존을 1시간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는 내용이다. 이로인해 LG유플러스는 이전에 비해 보다 많은 트래픽과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앞으로는 실명인증 방식을 SMS 인증 방식으로 변경하고 최초 1회만 인증하도록 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기본적으로 광고를 보는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과 동일한 방식을 취한다고... 그런데 정말 의문은 LG유플러스 와이파이존이 도대체 어디에 있느냐 하는 것이다. 나는 .. 더보기
기기들이 서로 커뮤니케이션하게 되는 날이 된다면 세상은 어떻게 변해 있을까? LG경제연구원에서 사물지능통신 관련 보고서가 나와서 공유합니다.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에서도 이 부분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모든 사물들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게 된다면 이 부분에도 플랫폼이 필요하게 되니 말이죠. 이러한 기술들이 보편화 되는 미래에는 우리의 삶이 또 어떻게 변해 있을까요? 정말 기대되면서도 두렵기도 합니다. 제목: LG경제연구원 ‘기기 간 연결이 만들어가는 생활 속 IT 서비스’ IT 기술은 우리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언제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으며, 앱으로 길을 찾고, 버스가 언제 도착할지도 알 수 있다. 이처럼 통신망 고도화와 스마트폰의 보급은 우리 생활을 크게 바꾸었다. 이제는 우리 주변의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며 생활 속 IT 서비스들이 한 단계 더 발.. 더보기
구글의 대한민국에서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면? 구글(www.google.com)은 전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국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검색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유독 대한민국에서는 이러타할 영향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검색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포탈의 영향이라 할 수 있겠지만 구글 검색 서비스가 우리 입맛에 맞지 않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더 적합할 듯 하다. 그런데 점점 구글의 대한민국에서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듯 하다. 7월 10일자 랭키 순위를 보니 페이스북은 11번가에 밀려 7위에서 8위로 떨어졌고, 구글은 10위에서 9위로 도약했다. 트위터의 하락세는 안습이다. 페이스북인 SNS로써 사용자를 추가 확보하지 못한다면 구글이 페이스북을 넘어서지 말라는 법은 없다. 어쩌면 구글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네이버, 다음, 네이트.. 더보기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서평단을 모집합니다. ^^ 메타블로그에서 뉴스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는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에서 서평단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7월 12일까지 모집하고 있으니 서두르면 정말 평생에 한번 읽을까 말까 한 엄청난 책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서평단 신청은 다음 링크를 타고 들어가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서평단 신청하기: http://blogwide.kr/article/15019 서평단 신청하기에 앞서 가 어떤 책인지 궁금하시죠? ^^ 제 블로그에서 꾸준히 소개하고 있기는 하지만 얼마전에 동아일보에서 제 책을 소개해 줬었는데요 너무나 잘 소개를 해주셨습니다. 서평 기사를 보시면 어떤 책인지 이해가 쉬울 듯 합니다. 동아일보 서평보기: http://it.donga.com/plan/9831/ 동아일보 서평기사는 정말 언제.. 더보기
ICT 기업을 넘어 모든 기업에게 필요한 플랫폼 비즈니스 전략이란? 플랫폼하면 대부분 ICT, 즉 정보통신 분야의 기업들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플랫폼은 ICT 분야의 기업은 말할 것도 없고 모든 분야의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비즈니스 전략이다.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은 플랫폼이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 전략이라는 점이다!!! 물론 좁은 의미에서는 플랫폼 하면 시스템을 떠올리겠지만 넓게 보면 비즈니스 전략 그 자체다. 그것이 시스템으로 구현 되는 것 뿐이다. 나는 이렇듯 플랫폼을 좁은 의미로만 바라보고 있는 현 상황과 기업들의 좁은 시야를 넓혀주기 위해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 구글처럼 개방하고 페이스북처럼 공유하라]를 쓰게 되었다. 이것은 나에게 숙명과도 같은 과제였다. ICT 기업 뿐만 아니라 이제 모든 기업들, 특히 제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