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냥이의 웹2.0 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드센스 고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IT를 버려야 한다? 대한민국의 블로거들이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게재하기 시작한 것이 언제쯤일까? 아마 2005년쯤에 시작하지 않았을까 짐작해본다. 2006년부터는 본격적인 애드센스 붐이 일어났었다. 필자도 깜냥닷컴을 2006년부터 시작했으니 그리 늦게 시작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때는 티스토리가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하지 않고 있던 시점이었기 때문에 애드센스 광고를 운영한다는 것은 곧 설치형 블로그를 운영한다는 것이었다. 즉 테터툴즈나 워드프레스와 같은 공개형 블로그 프로그램을 서버에 설치하여 운영했던 것이다. 그때는 '애드센스 광고로 도메인비용과 호스팅비용 정도만 벌면 되지!' 하는 소박한 생각으로 애드센스 광고를 게재했던 기억이 난다. 사실 2006년 정도만 해도 애드센스 광고는 그리 널리 알려지지 않았었고 네티즌 .. 더보기 블로그메타사이트들의 성장세가 둔화된 이유는 무엇일까? 웹2.0을 대표하는 서비스는 바로 블로그이다. XML, XHTML, RSS, AJAX 등의 기술이 모두 녹아들어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기술이외에 참여, 공유, 개방, 소통의 코드와 가장 잘 소화해낼 수 있는 개인미디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블로그들을 한곳에 모아서 블로그 소통의 매개체가 되는 사이트인 블로그메타사이트들의 성장세가 그리 좋아보이지 않는다. 다음의 사이트 통계 서비스를 보면 극명하게 알 수 있다. 블로그코리아만 상승했을 뿐이고 올블로그는 오히려 침체되고 있는 분위기이다. 믹시가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며 한때 올블로그를 위협했지만 지금은 성장세가 한풀꺽이며 주저 앉는 형국이다. 웹2.0의 대표 서비스로써 각광받던 블로그메타사이트들이 왜 이렇게 부진한 걸까? 아무래도 포탈들의 영향이 큰 .. 더보기 2008년 10대뉴스를 여러분과 함께 선정하고자 합니다!!! 언제나 한해를 보내는건 아쉬움이 많이 남지만 올 한해는 블로그의 발전면에서 큰 의미가 있는 한해이었던 것 같습니다.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와 깜냥닷컴(www.ggamnyang.com)이 여러분과 함께 2008년 10대뉴스를 선정하고자 합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됩니다. 의견을 취합하여 2008년 10대뉴스를 선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정치,경제,IT,연예,스포츠... 어떠한 분야라도 상관없습니다. 여러분의 기억에 가장 많이 남고 인상 깊은 뉴스를 올려주시면 됩니다. 12월28일에 의견을 취합하여 발표할 예정이오니 많은 의견 개진부탁드립니다. 그럼 여러분의 많은 의견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본 행사는 메타블로그인 블로그와이드(www.blogwi.. 더보기 왜 블로깅을 할까? 무엇을 위해 블로그를 써야할까? 우리는 왜 블로깅을 하면서 재미를 느끼는 것일까? 다시한번 생각해보자! 사실 블로그를 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할 것이다. 만약 다음 네가지 이유중에 없다면 당신은 매우 창의적인 블로깅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이유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기 바란다. 집단지성을 활용해서 블로깅을 하는 이유를 밝혀내보자! 단, 단순히 돈벌기 위해 스팸성 광고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은 자제해주기 바람! 자기표현을 위한 블로깅 블로그는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메모장이나 스케치북이다. 진지한 비평이나 자유로운 사고, 철없는 불평과 어이없는 농담. 이 모든 것을 담기위해 블로그를 쓴다. 매일 한 장씩 그림이나 사진을 올리기도 한다.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 또는 예술적인 재능을 표현하기 원하는 이들에게 블로그는 멋진 선택이 될 것이다... 더보기 [블로터닷넷]인터넷으로 들여다보는 ‘2008년 10대 뉴스’ 출처: http://bloter.net/archives/9040 블로터닷넷에서 제공된 기사입니다. 인터넷으로 보는 10대 뉴스를 발표했네요~ 이 자료도 랭키닷컴 자료를 참고한 것 같습니다. 깜냥닷컴과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도 10대뉴스를 선정하여 발표해볼까요? *^^* 왠지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올해가 가기 전에 할 수 있을런지... 쩝... 어느새 세밑이다. 이맘때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뉴스가 ‘올해의 이슈’다. 한 해를 되돌아보고 반성하며, 다가올 시간을 다잡아보자는 뜻에서다. 주요 포털사이트들도 이 메뉴에 빠지지 않고 동참한다. 벌써 다음, 구글, 야후코리아, 파란 등이 ‘올해 최고 검색어’나 ‘10대 뉴스’란 이름으로 비슷한 주제들을 발표했다. 오늘은 웹사이트 분석·.. 더보기 불황이 주기적으로 올 수 밖에 없는 이유! 참 아이러니 하지만 불황은 주기적으로 올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요즘 갑자기 뇌리를 스친다. 물론 필자는 경제전문가도 아니다. 정말 순수하게 아마추어적인 관점에서 생각을 해본 것이다. 요즘 '불황'이라는 말이 유행어처럼 번지면서 왠만해서는 지갑을 열지 않게 된다. 대학생 시절이었던 IMF때 유행어 였던 'IMF인데 술은 무슨...' 하면서 돈을 안쓰던 생각이 난다. 사실 수입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지만 왠지 불황에 돈을 쓰면 안될 것 같은 생각이 들게 된다. 막연한 불안감 때문이랄까? 그런데 이러한 불황은 왜 주기적으로 오는 것일까? 생각해봤다! 만약 활황만 지속된다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어떻게 될까? 기업에서는 엄청나게 많은 제품을 생산해내고, 엄청난 에너지는 소비될 것이다. 또한 개인들의 소비도 .. 더보기 2008년 11월 블로그와이드 Best Blog Top10을 발표합니다! 안녕하세요?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 운영자입니다. 11월 Best Blog 발표가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2008년 11월 Best Blog Top10을 발표합니다! 블로그와이드에 블로그를 등록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그럼 12월 Best Blog를 기대해주세요! Have a nice day!!! 더보기 네이버와 다음의 메인페이지 UI 싸움이 시작된건가? 2009년 1월 1일 바뀌는 네이버의 메인 페이지 UI이다. 검색창이 한결 깔끔해진 느낌이다. 현재의 메인페이지보다 시원한 느낌이 든다. 거기다가 오픈캐스트라고 하는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도 제공될 예정이라고 한다. 누구나 네이버의 서비스를 재배치하여 자신만의 홈페이지나 시작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서비스인 것 같다. 구글의 아이구글은 혼자 볼 수 있는 개인화 페이지라면 네이버의 오픈캐스트는 개인화 페이지를 여러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분석된다. 관련페이지: http://new.naver.com/design.html 그런데 참으로 공교롭게도 현재의 다음(www.daum.net) 메인페이지 UI와 왜 이리 흡사해보이는지... 포탈들이 서로의 서비스를 베끼고(고상한 말로 벤치마킹) 디자인과 UI를 베끼.. 더보기 늘어나는 광고, 스팸 블로그들... 대책은 없는가? 블로그메타사이트인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를 운영한지 6개월에 접어들었다. 솔직히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메타사이트이다 보니 운영면이나 홍보면에서 다른 메타사이트와는 게임이 되지 않는 수준이다. 그러다보니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바로 광고로 도배한 블로그나 스팸블로그들이다.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삭제하거나, RSS수집을 막아야 하는 그럴 형편이 못된다. 회사에 얽매여 있는 몸이다 보니 회사일 하면서 틈틈히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광고 및 스팸 블로그들이 급증하고 있다. 사실 자신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한 광고글은 양호한 편이다. 광고도 정보가 되는 세상이기 때문이다. 정말 문제가 되는 것은 똑같은 글을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는 스팸블로그들이다. 얼마전에 글을 수집하.. 더보기 기획자란 참으로 외로운 직업인 것 같습니다. 일을 하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획자란 참으로 외로운 직업이구나... 우선 논리를 만들기 위해 나 자신과 싸워야 합니다. 어찌보면 자기 합리화입니다. 나의 기획에 대하여 공격이 들어왔을 때 논리가 명확히 서 있다면 선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논리를 바탕으로 주위사람과 싸워야 합니다. 나의 논리를 그들에게 전파하고 그들을 내가 원하는 쪽으로 이끌기 위하여 싸우고 또 싸워야 합니다. 싸우다가 내 논리가 흔들리고, 수정되고, 바뀌고, 뒤집히고, 처음부터 다시 하더라도 끝까지 강한척 해야 합니다. 그게 기획자의 숙명입니다... 아직까지는 싸워서 깨진 기억이 더 많군요... 하지만 점점 내공이 쌓여가고 싸우는 기술(스킬)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내일은 오늘보다 더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는 .. 더보기 이전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