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s Column

모든 포스트에 글을 걸 수 없게 설정을 하고 나니 서글픈 생각이 드는건 왜일까? 결국은 스팸트랙백을 못이기고 모든 포스트에 글을 걸 수 없게 설정하였다. 장장 3시간은 걸린 것 같다. 내가 방법을 몰라서 노가다를 했을 수는 있겠지만 아무리 봐도 일괄적으로 트랙백을 차단하는 기능이 없는 것 같다. 일일이 포스트를 열어서 '글을 걸 수 있게 합니다'에 체크를 풀고 저장하고... 이 짓(?)을 반복하였다. 그런데 마음이 참 심난다! 서글프다! 내가 왜 이런 쓰레기들의 표적이 되어서 이런 스팸 트랙백을 받아야 하는가? 내가 왜 이런 쓰레기들의 구글 상위 랭크를 위하여 희생해야 하는가? 공유의 웹2.0을 대표하는 블로그서비스에서 트랙백을 차단해야 하는 사태가 벌어지다니... 처음 블로그를 개설하고 처음 받은 트랙백에 묘한 흥분을 느꼈었다! 아~ 내글을 누군가가 보고 있구나~, 아~ 누군가에게.. 더보기
EBS 구글(Google) 검색엔진 스페셜 방송 프로그램 동영상입니다. 더보기
무터미디어? 새로운 CPC광고 서비스인가? 웹서핑을 하다가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되면 어떤 서비스인지 분석하는 일은 직업의 특성상 어찌보면 당연한 일인 것 같다. 새로운 서비스를 접하게 되면서 흥분하게 되고, 그것이 정말 새로운 서비스인지, 아닌지를 분석해보아야만 직성이 풀리니... 물론 그것을 나에게 맞게 응용하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기획하는 일이 남아 있게 될 것이다. 좋게 이야기하면 벤치마킹이 될 것이고, 나쁘게 이야기하면 베끼는 것이 될 것이다. 조금전에 루리웹이라고 하는 비디오 게임 정보 커뮤니티에서 새로운 광고 서비스를 본 것 같다. 스폰서링크인데, 오버추어도 아니고 구글도 아니다. 관련 페이지: http://ruliweb.empas.com/data/rulinews/read.htm?num=15788 기사의 하단에 보면 스폰서링크가 있을.. 더보기
e쇼핑몰 “포털로 새는 돈 막아라” 가격비교.중개비 명목 年 수백억 수수료 지급 쿠폰.포인트 증정 직접 방문자 늘리기 안간힘 온라인쇼핑몰이 옆으로 새는 돈 단속에 나섰다. 누수(漏水)의 주범은 ‘관문’ 격인 포털이나 가격비교사이트에서 떼는 수수료다. 전자상거래시장이 매년 성장하면서 포털에 내는 수수료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가격을 비교해주고 포털이 중개비 명목으로 가져가는 돈만 1년에 수백억원에 이르는 실정이다. ▶수백억원이 포털로 새나가=전자상거래에서 포털의 역할은 인터넷쇼핑몰과 고객 사이에 가격비교를 통해 다리를 놓아주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쇼핑’이나 ‘다음 쇼핑하우’ 등에서 제품명으로 검색하고 가장 싼 가격을 클릭하면 해당 온라인쇼핑으로 연결되는 식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포털을 통한 간접방문자의 비중은 얼마나 될까. 업계에 따.. 더보기
스팸트랙백과 스팸댓글이 기승을 부리는 근본적인 이유 파악! 그동안 깜냥닷컴은 스팸트랙백때문에 곤혹을 치르고 있고 필자가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인 엑스티비(www.extv.co.kr)는 스팸댓글때문에 골치를 썩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아주 우연한 기회에 이런 스팸트랙백과 스팸댓글을 왜 보내는건지 근본적인 이유를 알게되었습니다. 그 배후에는 바로 구글이 있었습니다. 천하의 구글이 이 모든 스팸트랙백과 스팸댓글의 온상이라니??? 믿기 힘드시겠지만 믿으셔야 합니다. 솔직히 저는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영문으로 된... 전혀 광고효과가 없을 것 같은 스팸 트랙백과 댓글을 왜 보내는 걸까? 전혀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단지 테러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다가 아주 우연한 기회에 그 원리를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구글의 검색결과 상위에 노출 시키기 위한 전략.. 더보기
웹2.0을 가장한 분양사이트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요즘 인터넷을 보면 웹2.0을 가장한 분양사이트들이 무차별적으로 생겨나고 있는 것 같아 인터넷을 사랑하고 수익모델을 찾아 헤매는 실무자로써 심히 우려해야 될 수준이라고 생각하여 포스트를 띄운다. 웹2.0 열풍 만큼이나 투잡 열풍 또한 대단한 것이 현재의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어찌 보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애드센스로 수익을 내고 있다면 좁은 의미에서 투잡족이라고 보아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틈새시장을 노리고 사이트를 무료로 분양하는 서비스가 우후죽순 번지고 있다. 필자도 엑스티비(www.extv.co.kr)라고 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중이지만, 이것과는 별도로 엑스티비 웹하드 사이트(www.extv.kr)도 동시에 운영중이다. 엑스티비 웹하드 사이트가 바로 웹하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 더보기
추석에 전국을 누빈 나는 지역축제의 새로운 시장을 보게 되었다!!! 필자의 본가는 전북 전주이고, 처가는 경북 안동이다. 예전 지역감정이 거세던 시절 같으면 결혼하는것 자체가 굉장히 큰 이슈가 되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지금은 그런 지역감정이 거의 사라진 것 같다. 정치판만 빼고는... ^^ 이번 추석에 서울에서 안동에 먼저 들렀다가, 국도를 타고 전주로 왔다. 그리고 다시 서울로 돌아오는... 말그대로 전국 일주를 한것이다. 안동!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라는 슬로건이 멋스럽게 느껴질만큼 멋진 곳이다. 또한 많은 축제가 펼쳐지는 곳이다. 국제탈춤페스티발, 한우축제 등등... 지역축제의 초창기부터 대를 이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전통이 오래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국도를 타고 경상-충청-전라로 넘어오면서 보니 지역축제를 안하는 지자체가 거의 없었다. 특히 10월은.. 더보기
100개 닷컴 벤처의 100가지 수익모델 이야기 조금 오래된 자료입니다. 벌써 망한 기업도 있습니다. ^^ 하지만 예전 닷컴기업의 흥망성쇄를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 같아 올려봅니다. 참 많은 닷컴기업들이 우리 곁에 왔다가 사라져갔네요... 에이메일 www.amail.co.kr "퍼미션 DB로 글로벌 사업 전개" YEAR 2000 700만 퍼미션 마케팅 회원 기반의 이메일 마케팅 서비스에 주력했다. 자체 보유한 DB중 기업주의 제품과 서비스에 맞는 최적의 타겟그룹을 선정, 맞춤형 마케팅을 전개하는 방식이다. 월 30∼50개 기업의 e메일 마케팅을 전개했으며 맞춤형 타겟으로 추출된 샘플 1개당 100원의 비용을 받았다. 샘플의 평균 메시지 확인률은 70% 수준이며, 제품구매나 회원가입 등으로 이어지는 반응률은 25%에 육박했다. 자체 개발한 .. 더보기
웹2.0도 이제 시대에 묻이는가? 그렇게 인터넷을 달구던 웹2.0, UCC, 동영상 등의 키워드가 요즘은 많이 잠잠해진 것을 느낀다. 이제 어느정도 정착이 되어서 그런건지, 트랜드가 사그라들은건지, 금방 뜨거워졌다가 식어버리는 냄비근성때문인지... 요즘 인터넷을 보면 부쩍 웹2.0, UCC 등에 관련된 기사도 줄어들고 이슈화도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UCC, 동영상 등이 활성화되는 단계에 무궁무진한 사업기회가 있었고, 많은 업체들이 갖가지 BM을 갖고 시장에 뛰어 들었었다. 닷컴거품이 빠지듯, 우량 동영상 전문업체만 살아남고 조그만 동영상업체들은 서버비용, 트래픽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고 사라진 것 같다. 그러면서 점차 이슈화가 되지 못한게 아닐까? 이제 강자만이 살아남았고, 어느정도 진입장벽도 생겼으니... 또한 저작권문제도 점.. 더보기
순위사이트 피앙도 사이트를 무료로 등록할 수 있도록 바뀌었네? 사이트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순위사이트가 인터넷 마케팅을 하는데 얼마나 중요한지... 랭키닷컴과 같은 사이트에 등록하게 되면 순위에 대한 공신력을 확보할 정도이니... 그래서 많은 사이트 운영자들은 여러 순위 사이트에 등록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비용이 문제! 등록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큰 사이트를 운영한다면 문제가 없지만 작은 사이트를 운영한다면 적지 않은 돈이다. 그런데 얼마전에 순위사이트 피앙(www.fian.co.kr)에 들어가보니 사이트 등록비용이 무료!! 아무래도 네이버가 홈페이지 등록을 무료화하는데 자극을 받아서 미리 선수를 친게 아닌가 생각한다. ^^ 사실 예전에도 사이트를 등록하고 싶어서 찾아 갔을때도 분명 무료는 아니었던것 같은데... 그래서 내가 운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