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s Column 썸네일형 리스트형 다음 사이트검색, 네티즌이 결정하는 사이트순위검색 Daum 사이트검색(디렉토리 섹션, http://directory.search.daum.net )이 오픈하였네요~ 다음의 회원중 신청한 국내 최대의 패널이 참여하여 순위를 산정한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다음의 서비스들이 상위에 랭크되겠죠? 랭킹은 민감한 부분임이 분명한데 다음이 별다른 문제 없이 서비스를 계속했으면 좋겠군요~ 단, 한가지 문제는... 다음포탈에 홈페이지가 등록되어 있어야만 순위가 매겨진다는 것입니다. 엑스티비(www.extv.co.kr)의 경우 홈페이지가 등록되어 있지 않아 순위가 매겨지지 않고 있으며, 깜냥닷컴(www.ggamnyang.com)은 다음의 서퍼들이, 지내들이 알아서 등록한 것이어서 순위가 매겨져 있습니다. 오늘 보니 전체 93,730위 이군요... 얼마전보다 10,000위 .. 더보기 블로그에서 글을 자유롭게 퍼오지 못하도록 막는 것은 웹2.0정신에 위배되는 행위??? 블로그를 즐기는 가장 큰 이유는 내가 쓴 글을 불특정 다수의 많은 사람들이 보고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여러가지 각도에서 생각을 해볼 수 있도록 화두를 던져준다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이다. 물론 나도 다른 블로그를 서핑하면서 많은 정보를 얻고 있다. 그리고, 좋은 정보가 있으면 내 블로그에 퍼오기도 한다. 출처 명시는 당연한 것이고... 솔직히 저작권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참여, 개방, 공유의 웹2.0정신을 가장 잘 표현했다고 하는 블로그에 대해서 만큼은 신문, 잡지 등의 기성 언론사에서도 어느 정도 관용을 배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블로그를 돌아다니다 보면 글을 퍼오지 못하도록 오른쪽마우스클릭금지, 드래그금지 등의 조치를 취해놓은 블로그를 많이 접하게 된다. 그 글들이 본인의 글이라면 어느.. 더보기 2008년 어떤 IT 기술이 뜰까? [쇼핑저널 버즈] 다사다난했던 한해를 마무리하는 시기다. 분야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IT 분야는 워낙 변화 속도가 빨라 미래 예측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 하지만 시장의 흐름을 주도면밀하게 파악하고 조그만 소식에도 귀기울인다면 완벽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다. 쇼핑저널 버즈(www.ebuzz.co.kr)는 새해를 맞아 칼럼니스트, 파워블로거, 기자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2008년 IT 분야를 이끌 기술 트렌드를 살펴봤다. ■ 디지털 기기 무선으로 묶어주는 UWB UWB는 HD 동영상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고 블루투스와 하위 호환도 가능하다. (사진 : 벨킨)집안 곳곳에 디지털 기기가 사용되면서 이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통신망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블.. 더보기 Up Korea! 5대 성장산업 세계를 이끈다 [2008 희망 코리아·코리안] 미래산업이 책임진다 조선·철강·로봇·와이브로·LCD산업 현장 일각에서 ‘차세대 성장동력’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우리 경제의 시선은 이미 차세대를 넘어 ‘차차세대’로 향하고 있다. 외풍에도 흔들리지 않고 묵묵히 2008년을 열어가는 미래산업의 현장을 조망해 본다. 지난해 우리 경제의 주인공은 누가 뭐래도 조선업이었다. 2007년 한 해 조선업은 유례 없는 호황을 누리며 반도체, 휴대전화 등과 함께 수출 3700억 달러 시대의 주역이 됐다. 새해에도 조선업은 호조가 계속되면서 사상 최대의 이익 잔치를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해운업이 벌크선을 중심으로 사상 최고의 수주를 보이면서 조선업도 이 같은 호조세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대부분 조선업체 4년치 물량 확.. 더보기 세계 최초 개발 '와이브로' 기술, 국제표준으로 채택 와이브로 기술, 국제표준으로 채택(종합) ITU 전파총회서 승인..中.獨 반대 넘어서 (제네바=연합뉴스) 이 유 특파원 =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와이브로(WiBro) 기술이 IMT-2000으로 통칭되는 3세대(G)의 6번째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18일 오후 제네바 국제회의센터에서 진행된 전파총회(Radio Assembly) 본회의에서 한국의 와이브로 기술을 3G 국제표준으로 승인했다. 휴대인터넷 또는 모바일 와이맥스로 불리는 와이브로는 이동 중에도 광대역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통신 서비스이다. 와이브로가 3G 국제표준의 하나로 선정됨에 따라, 글로벌 로밍이 가능한 전세계 IMT-2000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와 동등한 위치에서 경.. 더보기 KT에서 운영하는 와이브로 UCC 사이트인 SeeU 예전, 팝디제이(www.popdj.tv) 라고 하는 개인 멀티미디어 방송 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에서 기획자로 일하였었다. 그때 참 열심히 일했던 것 같다. 그리고 재미있게 일했던 것 같다. 그때는 정말 어렸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 괜찮은 서비스였는데, 뜨지 못하고 잊혀져가는 것이 안타깝다. 그 회사에서 현재 KT 와이브로 서비스에서 VOD 및 실시간 방송 솔루션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팝디제이로는 뜨지 못했지만 KT 와이브로 서비스와 함께 살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활성화되지는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와이브로가 아직은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리스크로 작용하는 것 같다. 아무리 그래도 KT에서 하는 건데... 현재까지는 미진하긴 하지만 언젠가는 뜰 수 있는 서비스라고 본다. .. 더보기 내손안의 모바일 세상 와이브로에 거는 기대 ‘내 손안의 모바일 세상’을 구현한다는 3G(세대) 통신서비스 표준인 ‘와이브로’. 와이브로는 지난 연말 17대 대통령 선거 방송에서 진가를 발휘했죠. 이명박 대통령 후보의 당선이 유력시 되면서 모 공중파 방송에서는 이 와이브로 기술을 방송 인프라에 접목, 이 후보의 일거수 일투족을 실시간 디지털 방송으로 전송했는데요. 촬영 장소가 한정된 기존 방송 인프라의 맹점을 실시간 인터넷 서비스인 와이브로로 대체해 만회했죠. 10년전만 하더라도 꿈에 그리던 모습이 이제 현실이 된 셈이죠. 이뿐만 아닙니다. 물건 구입 후 와이브로 서비스를 활용한 결제도 가능합니다. 올해 본격 시도될 인터넷 기반 IP-TV와도 접목되면 우리의 생활은 더 편리해질 전망입니다. 와이브로는 3G 기반이지만 궁극적으로 4G를 지향하는 모바.. 더보기 쇼핑몰 수익율 분석법 대략적으로 쇼핑몰 사업계획에 필요한 사항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총방문자수 산정=고정단가 광고 검색어 방문자수 + 클릭당 광고 검색어 방문자수 + 검색등록 검색어 예상방문자수 고정단가 광고 검색어 방문자수=네이버 예상클릭수 클릭당 광고 방문자수=조회수 * 클릭율 (평균 5%) 검색등록 광고 방문자수(홈페이지 등록과 같은 형태)=조회수 * 클릭율 (평균 2%) 총광고비용=고정단가 광고검색어 광고비용 + 클릭당 광고 검색어 광고비용 + 검색등록 검색어 광고비 클릭당: 예상클릭수*클릭당 광고비 구매건수=검색어별 방문자수*방문자수대비구매율 방문자수대비 구매율= 0.1~1% (보통 1%로 산정) --> 검색엔진을 통하여 방문했을 경우 1%, 보통의 홍보로 방문했을 경우 0.1~0.5% 매출액=구매건수*건당매출액(1.. 더보기 네이버에서도 구글검색과 비슷한 웹2.0 '사이트서치' 서비스를 오픈하였습니다. 네이버에서도 구글검색엔진과 비슷한 검색서비스인 '사이트서치' 서비스를 오픈하였습니다. 구글은 애드센스를 블로그나 사이트내에 게재하여 수익을 낼 수도 있지만 검색엔진도 장착하여 사이트검색과 함께 전체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있었습니다. 물론 검색을 통하여 발생되는 애드센스 수익 또한 사이트 운영자에게 지급이 되구요~ 구글 공식명칭은 검색용 애드센스입니다. 한마디로 '웹2.0 검색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네이버도 이런 유사한 형태의 검색서비스를 오픈하였습니다. 구글과 유사한 형태이며, 검색엔진을 자신의 웹사이트 및 블로그에 설치하게 되면 자신의 웹사이트도 검색할 수 있고, 전체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네이버의 양질의 검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 더보기 블로그를 통하여 네티즌과 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블로그와 대화하고 있는 나! 나는 블로그와 대화한다! 블로그와 소통한다! 웹2.0이 트랜드로 떠오르면서, 블로그는 그야말로 웹2.0 서비스를 가장 잘 표현한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로써 젊은 층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인터넷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0대는 게임, 20대는 블로그를 하기 위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고 한다. 이제 블로그는 생활이 된 것이다. 2~3년전의 싸이열풍을 연상시키는 대목이다. 블로그의 가장 큰 특징은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올리는 것만으로 많은 네티즌들과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다. RSS 등의 대표적인 기능을 제외하고라도 검색엔진에서 블로그의 콘텐츠를 양질의 콘텐츠로 인식하고 검색결과에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많은 네티즌들이 블로그에 방문하게 만들고 있다. 그야말로 하나의 매체(미디어)가 된 것이다.. 더보기 이전 1 ··· 93 94 95 96 97 98 99 ··· 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