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깜냥이의 웹2.0 이야기!

세계 최초 네이버 통합검색 스토리 네이버 공식 블로그에서 검색의 역사를 설명한 글이 있어 소개합니다. 검색의 진화 인터넷에 검색엔진이 등장한지 어느덧 10년이 지났습니다. 이 기간 동안 정보를 찾고자 하는 이용자들의 검색욕구는 커졌고, 검색의 대상이 되는 정보 역시 다양해졌습니다. 또한 검색 서비스 역시 이용자들의 검색욕구에 맞춰 끊임없이 진화해왔습니다. 한국의 검색 서비스도 현재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지난 10여 년 간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이제, 검색 서비스는 ‘우리 동네 치과 중 이 안 아프게 뽑는 곳은?’ 이라는 질문부터, ‘핫 이슈를 표현할 때 왜 뜨거운 고구마라고 하지 않고, 뜨거운 감자라고 할까’라는 다소 엉뚱한 궁금증까지 해결해주는 유용한 도구로 생활 깊숙이 자리잡았습니다. 이제 탄생 7년째에 접어든 네이버 통합검색. 한국.. 더보기
네이버, 유료홈페이지등록 서비스 전면 폐지! 이는 모든 블로거들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블로거들에게 지탄의 대상이 되었던 네이버의 유료 홈페이지 등록 서비스가 폐지된다고 한다. 이는 모든 블로거들의 승리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드디어 인터넷 공룡 네이버가 블로거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 것 같다. (너무 확대해석인가? ^^) 웹2.0시대에 뒤쳐지는 네이버의 폐쇄적인 운영정책에 대하여 많은 블로거들이 비판해왔기 때문이다. 9월 6일부터 전면 무료화되면서 등록기간도 3~5일 정도로 짦아질 것이라고 한다. 필자가 운영하고 있는 엑스티비(www.extv.co.kr)의 경우도 네이버에 일반등록으로 신청했었으나 거부되었다. 이유는 성인콘텐츠가 들어가 있고 광고등의 수익모델이 있기 때문이었다. 완전한 커뮤니티 사이트나 개인홈페이지가 아니면 일반등록은 불가능 했었다. 그런데 이제는 엑스티비도 네.. 더보기
싸이월드 C2.. 넘 조용한거 아냐??? 올 초에 싸이월드 C2가 엄청난 관심속에서 오픈되었다. 철저하게 베일에 싸여 있었기 때문에 관심이 증폭되었었고, 이미 싸이월드의 열풍을 경험한 사람들은 어떤 서비스가 나올지 기대할 수 밖에 없었다. 엑스티비(www.extv.co.kr)가 전자신문에 보도되기로 한 바로 그날... 전자신문을 사든 나는 좌절할 수 밖에 없었다. 전자신문의 첫화면을 싸이월드가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싸이월드의 광풍에 엑스티비는 낄자리가 없었다. 거기다가 윈도우즈 비스타의 출시가 맞물려 엑스티비 신문보도는 그보다 20일 정도 지나서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런데 요즘 인터넷을 보니 싸이월드 C2가 너무 조용하다는 생각이 든다. 왜일까? 다른 곳도 아닌 SK컴에서... 싸이월드에서 엄청난 투자를 해서 내놓은 C2가 왜이렇게 조용.. 더보기
기승을 부리던 스팸트랙백이 멈추는 것 같습니다.. ^^ 그동안 지워도 지워도 계속 날라오던 스팸트랙백이 멈춘 것 같습니다. 스팸방지 플러그인도 설치해봤지만 효과가 전혀 없었거든요... 광고효과가 없다고 판단을 한건지 이제 보내지 않는군요. 역시 가장 좋은 전략은 무대응이었던 것 같습니다. 지우지도 않고 몇일을 두고 보니깐 눈에 뜨게 줄더군요... 혹시 스팸트랙백때문에 괴로워하고 계시는 분이 있다면 몇일동안 잠수를 한번 타보세요~ ^^ 지들도 광고효과 없는데 계속 보내겠어요~ 근데 우리나라 사이트도 아니고 영어권 사이트에서 무차별적으로 트랙백을 보내도 되는건지 의문이네요... 깜냥닷컴이 이미 영어권에서도 유명 블로그가 된건감? ㅋㅋㅋ 더보기
오늘에 감사하면서 살자!!! 문화마케팅에 대하여 공부하고 웹2.0에 대하여 생각하다 보니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야.. 우리가 참 많이 발전했구나... 정말 많이 윤택해졌구나... 이런 생각… 합리적인 가격보다는 조금 비싸더라도 대우를 받는 곳을 선택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그리고 기업의 횡포에 소극적으로 대응 하는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맞서 싸우고 있다. 소비자 우선! 개방! 공유! 소통! VIP! 옛날 자유당 시절에.. 파업하게 되면 구사대가 출동하여 파업현장을 무자비하게 진압하던... 그런 암울한 시대가 아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일지도 모른다. 구사대가 있던 시절이었으면.. 삼청교육대가 있던 시절이었다면 지금과 같이 마음 놓고 싸우지는 못했을 것이다. 혹시 모르겠다. 그 시절에 인터넷이 있었다면 구사대, 삼청교육대, 광주사태(5.. 더보기
문화마케팅에 대하여 공부중... ^^ 지금은 잠시 IT를 접고 문화마케팅에 대하여 공부중... ^^ 예전에는 문화마케팅을 비롯한 이벤트, 프로모션, 공연기획쪽에 있었지만 그쪽 세계에서 나온지 꽤 되었네요... 그러다가 이번에 그런 일을 잠시 하게 되었습니다. 잠시 하게 될런지, 계속 이런일이 생길런지는 아직 확실치 않치만... 우선은 최선을 대해야 하는 상황!!!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괜찮은 자료를 블로그에 올리고 있습니다. 솔직히 요즘 업데이트를 못하고 있습니다. 마음의 여유가 없네요... ^^ 우선은, 한가해질때까지 제가 모아놓은 자료들 보면서 마음의 여유를 찾아보세요~ *^^* 더보기
문화 시대에 맞는 문화 마케팅 - 감성을 공략하라, 그러면 팔릴 것이다. 사용자 PC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차단했습니다. 원본 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고 한다.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서 사람들은 문화를 향유하고 싶어하고, 이에 대한 소비 욕구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도 가격이나 기능 위주로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높은 가격을 지불하더라도 심미적 욕구나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호한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들은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문화 마케팅’이다. 문화 마케팅은 크게 두 가지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문화를 위한 마케팅(Marketing for Culture)’은, 문화 및 예술 콘텐츠를 어떻게 널리 알리고.. 더보기
`클릭 도둑질`… 부끄러운 언론 네이버의 아웃링크제도를 이용한 언론의 무차별적인 트래픽 끌어들이기를 비판한 기사가 눈길을 끌어서 제공합니다. 감사합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 검색어 상위에 오른 단어와 관련된 기사를 반복적으로 내보내 자사 사이트로 트래픽을 유도하는 이른바 `어뷰징(abusing)`의 부작용을 더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KBS `심야토론` 을 진행하는 시사평론가 정관용박사는 지난 2일 `군 복무 가산점제 부활` 심야토론이 끝난뒤 `심야토론`이라는 단어와 주요 출연자들의 이름이 줄줄이 검색어 상위를 오른것을 발견했다. 그런데 데일리 서프라이즈, 조선일보, 중앙일보, 매일경제, 한국일보, 이렇게 몇몇 언론사의 기사가 한개도 아니고 두 개, 세 개씩이나 검색돼 나왔다. 제목이나 내용 혹은 사진을 약간씩 .. 더보기
입소문마케팅 新사고, Integrated WOM 모델이란 입소문마케팅 新사고, Integrated WOM 모델이란 숙명여대 홍보학 조정열 교수가 한국홍보학회에서 한 말을 인용하면, 한국의 홍보회사들과 외국의 다국적 홍보회사들과의 인적, 능력, 열정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한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외국기업들은 자신들만의 모델을 사용해서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모델 개발이야말로 모든 실행 영역의 핵심이다. 실행을 위한 가설 모델 구조가 없다면, 실행의 경험은 무의미하게 아무렇게나 모아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일찍이 필자는 입소문 마케팅과 관련해서 세계 최초의 “구전 커뮤니케이션 전략 센터”를 운영하며 실전적인 모델 개발을 개발, 적용하여 WOM 에러를 줄여가는 일에 힘써왔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통합적 사고의 반영 그리고 현장의 실전을 결합한 Inte.. 더보기
기업PR로서의 문화마케팅이 기업 및 브랜드 이미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문화마케팅에 관련하여 괜찮은 정보가 있어서 공유합니다. 좋은 정보 많이 얻어가세요~ ^^ 기업PR로서의 문화마케팅이 기업 및 브랜드 이미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수범 (Lee,Soo-bum) / 인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ncheon)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졸업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 석사 美, 오클라호마대학교 언론학 박사 신성혜 (Shin,Sung-hye) / 인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과정 (M.A.Candidate,Dept.of Mass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ncheon) 인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본 연구는 기업의 문화마케팅 활동이 기업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