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냥이의 웹2.0 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웹2.0 코리아]"최신 트랜드 쫓아 현장에서 승부하라" “모든 것이 현장에서 이뤄져야 합니다. 필드에 나가서 부딪쳐 봐야 합니다. 무조건 시작하세요. 스케이트 보드는 말로 들어서는 수천 년이 지나더라도 배우지 못합니다.” 27일 대치동 코스모타워서 열린 ‘제 2회 웹 2.0 코리아 2007’ 행사에서 첫날 강연에 나선 조산구 KTH 상무는 “웹 2.0 서비스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모든 것들이 현장에서 사람들과 함께 진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른바 ‘일하면서 배운다(Learning from Doing)’는 주장이다. 그는 이를 위해 최신 트랜드를 쫓아 뭐든지 시도해 볼 것을 강하게 주장했다. 동영상이 뜬다면 동영상 UGC, 동영상 위키(지식인), 동영상 검색, 동영상 광고에 도전하면 되고, 인맥구축(Social)이 뜬다면 쇼셜 네트워크, 쇼셜 검색, 쇼.. 더보기 LG경제연구원 '모바일 2.0 삼국지, 승리의 조건' (서울=뉴스와이어) 2007년05월01일--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웹 2.0이 모바일로 넘어왔다. 모바일 2.0이 가져 올 새로운 시장기회를 움켜잡기 위해 이미 단말기 제조사, 인터넷 포탈, 이동통신사는 각자의 영역을 넘어선 치열한 경쟁을 시작했다. 모바일 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한 이들의 삼국지를 살펴 본다. 모바일 2.0 시대를 맞아 거대한 성장 잠재력을 지닌 모바일 서비스 시장이 주목을 받고 있다. 단말기 제조사, 인터넷 포탈, 이동통신사가 새로운 성장·수익모델을 찾기 위해 산업간 경계를 넘나드는 합종연횡과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전망이다. 모바일 2.0 시대의 경쟁에서 누가, 어떤 전략으로 살아남을까? 모바일 2.0 삼국지의 판도를 조명해 보자. 모바일 2.0은 웹 2.0이 진정으로 구현되는 것 인터.. 더보기 다음 사이트검색, 네티즌이 결정하는 사이트순위검색 Daum 사이트검색(디렉토리 섹션, http://directory.search.daum.net )이 오픈하였네요~ 다음의 회원중 신청한 국내 최대의 패널이 참여하여 순위를 산정한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다음의 서비스들이 상위에 랭크되겠죠? 랭킹은 민감한 부분임이 분명한데 다음이 별다른 문제 없이 서비스를 계속했으면 좋겠군요~ 단, 한가지 문제는... 다음포탈에 홈페이지가 등록되어 있어야만 순위가 매겨진다는 것입니다. 엑스티비(www.extv.co.kr)의 경우 홈페이지가 등록되어 있지 않아 순위가 매겨지지 않고 있으며, 깜냥닷컴(www.ggamnyang.com)은 다음의 서퍼들이, 지내들이 알아서 등록한 것이어서 순위가 매겨져 있습니다. 오늘 보니 전체 93,730위 이군요... 얼마전보다 10,000위 .. 더보기 비전을 같이 만들어갈 수 있는 회사에서 일하고 싶다!!! 회사의 비전이 무엇입니까? 회사의 비전은 회사와 직원이 같이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회사가 좋아서... 직원이 열심히 해서... 그렇게 해서 비전은 만들 수는 있겠지만 힘든 여정이 될 것이다. 회사는 회사의 본분을 다하고 직원을 위하고, 직원 또한 회사의 발전을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비전을 공유할 수 없다면? 사실 열심히 하면 나중에 충분한 보상을 해줄께~ 라는 말처럼 밑도 끝도 없는 말은 없다. 비전은 확실하게 정해진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그래야 회사와 직원이 합심해서 열심히 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그 비전을 어떻게 만들어 나가느냐가 숙제로 남는군... 후훗~ 더보기 화이팅(Fighting) - 채환 직장인의 심정을 가장 잘 표현한 노래라고 생각합니다. 채환의 '화이팅' 특히나 '백수생활 그립지만 주먹 꽉 쥐고~~' 이 부분이... ㅋㅋㅋ 하지만... 그래도... 그 백수시절에 경험했던 그 암흑같던, 참혹했던 느낌... 다시 경험하지 않기 위해서 오늘도 주먹 꽉 쥐고~ 화이팅!!! 화이팅(Fighting) - 채환 아침에 눈을 떠보니 너무나 피곤해서 모든걸 던져버리고 잠이 나 자 봤으면 저녁에 집에 오는길 술 한잔하고나니 몇일만 놀고싶지만 또다시 지하철안 매일매일 반복되는 지루한 하루 백수생활 그립지만 주먹 꽉 쥐고 Figting Figting My life is beautifull life Figting Figting 아름다운 나의 인생 매일 똑같은 뉴스와 재미도 없는 신문 비슷한 얼굴들로만 가득찬.. 더보기 블로그에서 글을 자유롭게 퍼오지 못하도록 막는 것은 웹2.0정신에 위배되는 행위??? 블로그를 즐기는 가장 큰 이유는 내가 쓴 글을 불특정 다수의 많은 사람들이 보고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여러가지 각도에서 생각을 해볼 수 있도록 화두를 던져준다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이다. 물론 나도 다른 블로그를 서핑하면서 많은 정보를 얻고 있다. 그리고, 좋은 정보가 있으면 내 블로그에 퍼오기도 한다. 출처 명시는 당연한 것이고... 솔직히 저작권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참여, 개방, 공유의 웹2.0정신을 가장 잘 표현했다고 하는 블로그에 대해서 만큼은 신문, 잡지 등의 기성 언론사에서도 어느 정도 관용을 배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블로그를 돌아다니다 보면 글을 퍼오지 못하도록 오른쪽마우스클릭금지, 드래그금지 등의 조치를 취해놓은 블로그를 많이 접하게 된다. 그 글들이 본인의 글이라면 어느.. 더보기 2008년 어떤 IT 기술이 뜰까? [쇼핑저널 버즈] 다사다난했던 한해를 마무리하는 시기다. 분야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IT 분야는 워낙 변화 속도가 빨라 미래 예측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 하지만 시장의 흐름을 주도면밀하게 파악하고 조그만 소식에도 귀기울인다면 완벽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다. 쇼핑저널 버즈(www.ebuzz.co.kr)는 새해를 맞아 칼럼니스트, 파워블로거, 기자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2008년 IT 분야를 이끌 기술 트렌드를 살펴봤다. ■ 디지털 기기 무선으로 묶어주는 UWB UWB는 HD 동영상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고 블루투스와 하위 호환도 가능하다. (사진 : 벨킨)집안 곳곳에 디지털 기기가 사용되면서 이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통신망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블.. 더보기 Up Korea! 5대 성장산업 세계를 이끈다 [2008 희망 코리아·코리안] 미래산업이 책임진다 조선·철강·로봇·와이브로·LCD산업 현장 일각에서 ‘차세대 성장동력’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우리 경제의 시선은 이미 차세대를 넘어 ‘차차세대’로 향하고 있다. 외풍에도 흔들리지 않고 묵묵히 2008년을 열어가는 미래산업의 현장을 조망해 본다. 지난해 우리 경제의 주인공은 누가 뭐래도 조선업이었다. 2007년 한 해 조선업은 유례 없는 호황을 누리며 반도체, 휴대전화 등과 함께 수출 3700억 달러 시대의 주역이 됐다. 새해에도 조선업은 호조가 계속되면서 사상 최대의 이익 잔치를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해운업이 벌크선을 중심으로 사상 최고의 수주를 보이면서 조선업도 이 같은 호조세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대부분 조선업체 4년치 물량 확.. 더보기 세계 최초 개발 '와이브로' 기술, 국제표준으로 채택 와이브로 기술, 국제표준으로 채택(종합) ITU 전파총회서 승인..中.獨 반대 넘어서 (제네바=연합뉴스) 이 유 특파원 =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와이브로(WiBro) 기술이 IMT-2000으로 통칭되는 3세대(G)의 6번째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18일 오후 제네바 국제회의센터에서 진행된 전파총회(Radio Assembly) 본회의에서 한국의 와이브로 기술을 3G 국제표준으로 승인했다. 휴대인터넷 또는 모바일 와이맥스로 불리는 와이브로는 이동 중에도 광대역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통신 서비스이다. 와이브로가 3G 국제표준의 하나로 선정됨에 따라, 글로벌 로밍이 가능한 전세계 IMT-2000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와 동등한 위치에서 경.. 더보기 KT에서 운영하는 와이브로 UCC 사이트인 SeeU 예전, 팝디제이(www.popdj.tv) 라고 하는 개인 멀티미디어 방송 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에서 기획자로 일하였었다. 그때 참 열심히 일했던 것 같다. 그리고 재미있게 일했던 것 같다. 그때는 정말 어렸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 괜찮은 서비스였는데, 뜨지 못하고 잊혀져가는 것이 안타깝다. 그 회사에서 현재 KT 와이브로 서비스에서 VOD 및 실시간 방송 솔루션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팝디제이로는 뜨지 못했지만 KT 와이브로 서비스와 함께 살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활성화되지는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와이브로가 아직은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리스크로 작용하는 것 같다. 아무리 그래도 KT에서 하는 건데... 현재까지는 미진하긴 하지만 언젠가는 뜰 수 있는 서비스라고 본다. .. 더보기 이전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