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s Column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생에 있어서 대표자로 살아가는 것과 조력자로 살아가는 것! 무엇이 더 매력적인가? 사업을 하다 보면 대표자가 될 수도 있고 누군가를 지원해주는 조력자로 살아가야 할 때도 있다. 물론 사업을 한다고 해서 꼭 대표가 되어야 한다는 법은 없을 뿐더러 오히려 대표가 될 자질이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을 지원해주는 조력자의 역할도 나쁘지는 않을 듯 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업들을 보면 하나의 기업내에서만 일들이 진행되고 있지는 않는게 아이러니하면서도 특색이 있다. 현재 하는 사업은 사업대로 진행되는데 개인적으로 몇몇가지의 사업에 관여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다. 와이드커뮤니케이션즈라는 회사를 하고 있지만 동시에 그림책작가 협동조합의 이사장을 맡고 있으니 이런 일들이 전부 비슷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이사장이야 직책이기 때문에 언제라도 물러날 수 있기는 하다. 요즘은 이런 생각을 해본.. 더보기 만족도가 80% 정도면 될까? 아니 이제는 더 올려야 살아 남을 수 있다. 만족도 80% 법칙이라고 들어봤는가? 아마도 들어보지 못했을 것이다. 내가 만든 말이니까! 이 뭐냐 하면 무슨 일을 하던지 간에 100%의 만족도에 도달하기 위해 서는 그만큼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결국 그렇게 되면 만족도를 100%까지 끌어 올리기 위해 뼈를 깎는 고통이 수반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만족도가 80% 정도 되는 선에서 일을 진행시키는 것을 이야기한다. 어찌보면 자기와의 타협이라 할 수 있다. 엥간하면 진행하고 보자는 나만의 스타일이 담겨 있다. 책을 쓸때도 마찬가지다. 100%의 만족도를 느끼고자 글을 쓴다면 아마도 한페이지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80% 정도 만족한다면 두눈 질끈 감고 다음 장으로 넘어갈 수 있다. 나중에 다시 보면서 탈고하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요즘.. 더보기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 정보라 해도 비웃지 마라! 누군가에게는 애타게 찾고 있는 보물일 수 있다. 하나의 정보가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 있을까? 블로그에 글을 쓰고, 또한 책을 쓰게 되면 특정 대상, 독자층을 생각하면서 글을 쓰게 된다. 어찌보면 정보를 만들어 내는 크리에이터에 가깝다. 그런데 정보라는 것은 그것이 필요한 사람이 있을 것이고,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 것이다. 이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세상 만사 모든 이치가 이러하다. 요즘 이런 생각을 해봤다. 과연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라 하여 그 정보를 비난할 수 있을까? 사실 나 자신도 반성하고 있지만 뻔한 이야기로 채워진 책들을 보면서 저자들을 비웃은 적이 많았다. 정말 한심하다, 책을 내려고 짜집기 했네~ 등등... 그런데 누군가는 그 책을 보고 만족해 하고 저자에게 고마움을 표하기도 한다. 정말 너무나 좋은.. 더보기 앤서니 브라운의 우리 아빠가 최고야 뮤지컬, 괜히 봤다.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그림책 작가인 앤서니 브라운의 를 뮤지컬로 봤다. 책으로 봤을 때는 그림도 그렇고 내용도 그렇고 아주 좋았다. 특히 아이들이 아빠를 이해하고 좋아하게 만들 수 있는 책이어서 자주자주 다현이게 읽어줬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보러간 뮤지컬.. 하지만 기대만큼 실망도 컸다. 아니, 실망이 컸다기 보다는 아이에게 이런 뮤지컬이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아이의 눈높이에도 맞지 않고 엄마 아빠의 눈높이에도 맞지 않는다. 다현이가 재미있어 했다면 모르겠지만 전혀 재미있어 하지 않았다. 그냥 아빠랑 뭔가를 같이 보고 있다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았다. 차라리 슈퍼영웅 뽀로로나 번개맨과 같은 공연이 아이에게는 훨씬 재미있고 유익하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게다가 관람 비용도 비싸기도 하려니와.. 더보기 장사는 돈을 버는 것, 사업은 돈 벌어줄 사람을 버는 것, 기업은 돈 벌어줄 사람 버는 시스템을 버는 것? 요즘 사업에 대해, 비즈니스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고 있다. 와이드커뮤니케이션즈의 주력 사업 모델인 인터넷 언론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 운영, 체험단 마케팅 대행, 소셜마케팅 대행 등등.. 그런데 이러한 일들이 지속 성장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왜 성장하지 않는 것일까? 얼마전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은 듯 했다. 장사는 돈을 버는 것이다. 사업은 돈 벌어줄 사람을 버는 것이다. 기업은 돈 벌어줄 사람 버는 시스템을 버는 것이다. 페이스북에서 누군가 올린 글이었다. 이글을 보고 나니 난 사업을 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장사를 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그건 바로 리스크를 너무 두려워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사무실을 얻는 것도, 직원을 채.. 더보기 창조경제는 결국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다! 지난 포스트에서 '창조경제란 창의적인 창조를 기반으로 조성되는 경제 공간(영역)이다. 창조경제란 창의적인 창조를 할 수 있도록 생태계(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라고 정의한 바 있다.(관련글: 창조경제란 무엇인가?) 이렇게 놓고 보면 창조경제란 결국 플랫폼을 만드는 일과 크게 다르지 않다. 플랫폼 비즈니스를 쉽게 풀어 쓴 (윤상진 지음, 한빛비즈 펴냄)에서는 플랫폼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플랫폼이란 공급자,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하여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으로서 플랫폼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면서 모두에게 새로운 가치와 혜택을 제공해줄 수 있는 상생의 생태계다.] 이슈가 되는 경제 현상이나 용어들을 보면 단순히 신조어가.. 더보기 그림책 작가들의 아름다운 반란! 그림책 작가 협동조합이 공식 출범하였습니다. 협동조합 기본법이 2012년 12월 1일 제정되면서 협동조합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협동조합 붐이 일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협동조합을 만들고 있고, 또한 논의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협동조합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6월에 설립된 그림책 작가 협동조합이 그림책 시장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저 깜냥 윤상진이 초대 이사장으로 선출되어 다양한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 프로젝트가 있거나 그림책 관련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계시다면 그림책 작가 협동조합과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 협동조합 문의: 윤상진(이사장), 010-2627-8554, genie.yoon@gmail.com 그림책 작가 협동조합 출범, 그림책 작가들의 아름다운 .. 더보기 해나야! 아픔없는 저 하늘에서 마음껏 숨쉬고 뛰놀렴.. ㅠㅠ '휴먼다큐 사랑'은 많은 이에게 큰 희망과 감동을 선사했던 해나의 기적 같았던 35개월의 짧은 생을 추모했다. 7월8일 방송된 MBC '휴먼다큐 사랑 추모특집 안녕 해나'에서는 지난 7일 세상을 떠난 아기천사 해나의 과거 모습과 수술 과정이 공개됐다. 해나는 태어날 때부터 기도가 없이 식도에 튜브를 꽂아 호흡해왔다. 입으로 음식을 섭취할 수 없어 배에 구멍을 뚫고 생활했던 해나는 지난 4월 세계 최연소 줄기세포 인공기도 이식수술을 받았다. 수슬은 성공적이었지만 회복과정에서 참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다가 영면했다.. ㅠㅠ TV를 보는 내내 가슴이 먹먹했다. 페이스북을 통해 해나 소식을 접했고, 무슨 일이 있었는지 궁금했었는데 TV에서 해나 특집을 방송해 주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해나의 마지막 장.. 더보기 기성용과 윤석영의 최강희 감독 디스, 트위터에 한말이 그만한 가치가 있는가? 기성용이 리더의 자격을 운운하며 최강희 감독을 간접 디스하고, 최강희 감독은 인터뷰를 통해 기성용을 까고, 윤석영은 최강희 감독의 혈액형 발언을 까고.. 이 모든게 트위터에 남긴 한마디의 트윗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과연 기성용과 윤석영은 트위터에 남긴 말이 문제가 될 것을 인식하고 썼을까? 아님 그냥 자신의 현재 감정에 충실해서 별다른 생각없이 썼을까? 아님 일부러 갈등을 증폭시키기 위해 썼을까? 만약 갈등을 증폭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직접 언론사에 전화해서 인터뷰를 하던가 해야 하지 않을까? 트위터에 남기는 한마디 트윗은 개인의 일시적인 감정에 의해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다. 그것을 놓치지 않고 언론에서 떠든다면 어디 무서워서 트위터를 할 수 있겠는가? 결국 기성용은 트위터 계정을 삭제했다고 하지 않는가.. 더보기 [서평]백 마디 말을 이기는 침묵의 심리 게임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 전율했다. 나의 상황과 많이 닮아 있었기 때문이다. 평소 말을 많이 하기 보다는 듣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았다. 솔직히 말을 많이 하지 않는 것에 대해 일종의 콤플렉스도 있었다. 말을 청산유수처럼 잘하는 사람을 보면 부럽기도 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게 다 쓸모 없는 일이고 오히려 역효과만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나의 성향이 단점이라 생각했었는데 이 책을 읽고 장점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정감이 간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과 같이 주의 깊게 듣고, 중간 중간 정리하는 말 한마디 던지고, 또 주의 깊게 듣고, 질문할 내용이 있으면 질문하고.. 이렇게 하다보면 에너지 소모없이 원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을 듯 하다. 물론 나 자신이 지금.. 더보기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