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s Column/Web2.0 썸네일형 리스트형 위자드닷컴 무슨 문제 있나? 위젯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위자드닷컴(http://wzd.com/)에 무슨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깜냥 블로그에 위자드닷컴에서 제공하는 위젯이 설치되어 있다. 블로그메타사이트인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의 추천글을 보여주는 위젯이다. (관련글: http://ggamnyang.com/723) 블로그와이드 위젯 퍼가기: http://oz.wzd.com/Myjit/detail/3644238 그런데 얼마전부터 접속이 잘 되지 않는다. 문제는 위젯 접속에 문제가 생기면서 깜냥닷컴 블로그의 로딩 속도도 현저히 느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위젯을 불러오려고 웹브라우저가 일을 열심히 해서 그런가 보다. 그러다가 위젯을 포기하고 페이지를 정상적으로 불러오기는 하지만 그래도 그 로딩시간이.. 더보기 구글은 실험을 마치고 다시 옛날의 구글로 돌아간 걸까? 메인화면에 덩그러니 놓여 있는 간결한 검색창만을 고수하던 구글(www.google.co.kr)은 예외적으로 한국에서 접속하는 메인화면에 블로그 글, 토픽, 들을 노출시켰었다. 그래서 대한민국의 네티즌이 구글을 굴복시켰다는 이야기도 공공연히 회자되기도 했다. 그런데 어제, 오늘 보니 구글이 예전의 메인화면으로 다시 돌아간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에서의 실험을 마치고 예전 구글로 돌아간 것일까? 구글이 대한민국 현지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본래의 메인화면으로 돌아가 아쉬운 감이 없진 않다. 구글의 메인 화면 변화! 일시적인 것일까? 아니면 다시 오만한 구글로 돌아간 것일까? 더보기 나는 왜 웹 2.0을 고집하는가? '깜냥이의 웹2.0 이야기' 블로그를 시작하던 2006년은 '웹 2.0'과 'UCC'의 광풍이 대한민국을 뒤흔들고 있었다. 사실 처음 블로그를 열때는 웹 2.0에 대해 잘 알지도 못했고, 단지 동영상 업체에 근무하고 있었기 때문에 UCC에 대해서는 조금 알고 있는 수준이었다. 블로그를 열면서 운명과도 같이 '웹 2.0'에 끌렸고, '소셜 웹'으로 트렌드가 바뀐 지금도 '웹 2.0'을 놓치 못하고 있다. 나에게 웹 2.0은 그만큼 소중한 존재이다. 웹 2.0을 통해 지금의 [소셜 웹 사용설명서]라는 책이 탄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는 '웹 2.0'과 '소셜 웹'을 다르게 생각하지 않는다. 똑같은 존재, 혹은 '웹 2.0'속에 흐르는 하나의 거대한 흐름을 '소셜 웹'이라 생각한다. [소셜 웹 사용설명.. 더보기 인터넷에 내보내는 패킷 양으로 해석한 웹 2.0 오늘 웹서핑을 하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웹서핑을 한다는건 인터넷에서 패킷을 받기만 하는 것일 텐데... 그렇다면 패킷을 얼마나 내보냈느냐에 따라 인터넷 파워유저와 일반유저로 구분할 수 있지 않을까? 게시판에 글을 남기고, 사진을 올리고, 동영상을 올리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대부분은 그냥 웹서핑을 하는 수준일텐데 말이다. 나는 정보의 소비자일까? 생산자일까? 아, 여기서 웹하드에 영화 같은 동영상 업로드는 제외하고 말이다. 사실 국가정보원 같은 곳은 정보유출을 막기 위해 내부에서 패킷을 내보내지 못한다. 웹사이트는 볼 수 있어도 게시판에 글을 쓰거나, 심지어 메일도 보내지 못한다. 국가정보원 내에서 승인없이 가지고 나갈 수 없는 건 아무것도 없다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나는 어제 얼마나 .. 더보기 블로그와이드 추천글 위젯을 출시하였습니다. 블로그메타사이트인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 추천글 위젯을 출시하였습니다. 블로그와이드에서 추천을 받은 인기글을 위젯으로 서비스할 수 있게 된 것인데요. 블로그, 카페, 웹사이트 등등 어느 곳이든지 손쉽게 위젯을 설치하여 방문자들에게 블로그와이드 추천글을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와이드 위젯은 위자드닷컴(www.wzd.com)을 통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위자드API를 이용하면 보다 멋진 위젯을 만들 수 있겠지만 제가 실력이 딸려서 가장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마이젯'을 이용해서 만들었습니다. 위젯을 가져가기 위해서는 위자드닷컴의 위젯 페이지로 이동해야 합니다. 블로그와이드 위젯 퍼가기: http://oz.wzd.com/Myjit/detail/3644238 위젯은 제목, 가로크기, .. 더보기 도메인을 지메일에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는 구글 앱스 서비스 웹사이트는 있는데 메일은 다른 웹메일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자체적으로 메일서버를 구축하자니 비용도 많이 들고 관리하기도 쉽지 않다. 웹호스팅 업체에서 메일 호스팅을 받자니 그것도 비용이 만만치 않다. 특히 소규모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면 엄두도 못낼 일이다. 필자도 커뮤니티 사이트인 엑스티비(www.extv.co.kr/)를 운영하고 있으면서 웹마스터 이메일(webmaster@extv.co.kr)을 이용하고 있었다. 메일 서비스를 웹호스팅 업체에서 무료로 제공해주었기 때문에 잘 이용하고 있었지만 얼마전 서버를 이전하면서 이메일 서비스를 전혀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구글 앱스(http://www.google.com/apps/)를 이용하면 무료로 도메인을 지메일에 연결하여 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 더보기 시맨틱검색 큐로보! 한뼘검색과 집중조명 2009년 3월에 시맨틱검색을 자처하는 큐로보와 아울림을 소개한 적이 있다. (관련 포스트: http://ggamnyang.com/488) 1년이 지난 지금은 어떤 모습일까? 우선 아울림(www.owlim.com)은 1년전이나 지금이나 별다른 차이가 없다. 메인 UI도 똑같고 검색결과도 별반 나아진게 없다. 큐로보(www.qrobo.com)는 어떨까? 큐로보는 나름 많은 발전이 있어 보인다. 사실 워드프레스를 이용한 블로그 서비스인 큐로보프레스(blog.qrobo.com/)에 관심이 많아서 얼마전에도 방문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티스토리에 비해 별다른 장점을 발견하지 못했기에 알고만 있는 수준이랄까~ 큐로보의 시맨틱검색을 보니 특징적인 것 두가지가 눈에 띈다. 바로 한뼘검색과 집중조명이다. 현재 가장 .. 더보기 네이버의 동영상 UCC 전략은 성공한 것일까? 웹2.0의 참여정신을 반영한 동영상 UCC 열풍이 불던 지난 2006년... 다음은 UCC에 올인을 했었고, 네이버는 먼산 바라보듯 했었다. 다음이 UCC에 올인하면서 네이버를 많이 따라 잡았으며 일견 매우 성공적인 전략으로 평가받았다. 물론 네이버도 플레이, 비디오 등의 이름으로 동영상 UCC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전략적으로 키우려는 의도 보다는 UCC 열풍이 너무 거세다 보니 구색갖추는 수준에서 운영되었다. 하지만 UCC 열풍이 잠잠해진 지금! 네이버가 과감히 비디오 서비스를 접는다고 한다. (관련공지: http://video.naver.com//read/1000001022/10000000000005132626) "네이버 비디오 서비스가 2010년 4월 29일 종료되고 붐, 포토갤러리를 통한 동영상 감.. 더보기 UCC 동영상 서비스가 계륵으로 전락하는가? UCC 동영상 전문 서비스인 엠앤캐스트에 이어 하나포스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앤유(http://andu.hanafos.com/)도 2010년 2월 28일이면 역사속으로 완전히 사라진다. UCC 열풍을 타고 너도나도, 앞뒤 안가리고 동영상 서비스를 런칭하던 시절이 떠오른다. 포탈사이트는 물론이고 중소 사이트, 커뮤니티 사이트, 심지어는 정부기관 사이트까지도 동영상 서비스를 구축했었다. 하지만 배(수익)보다 배꼽(지출)이 더 큰 사업을 유지할 수 있는 업체는 자금력이 풍부한 대형 업체들 뿐! 사실 앤유가 서비스를 종료하게 될지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다. 왜냐하면 인터넷 회선사업을 하고 있는 하나포스가 서비스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너도나도 동영상 서비스가 구축하면서 가장 수혜를 받은 곳이 바로 동영상 플레.. 더보기 블로그와이드 기능 업그레이드 리포트 블로그메타사이트인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였습니다. 사실 다른 블로그메타사이트들에 비해 많은 부분 부족하지만 조금씩 개선해 나간다면 좋은 메타블로그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기능 업그레이드는 게시판에 대한 것입니다. 1. 블로그와이드 게시물의 도메인주소가 간소화되었습니다. 기존의 블로그와이드 주소 체계는 매우 복잡해서 소개할 때 번거로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아주 간단한 주소체계를 확립하였습니다. 다음은 간소화된 블로그와이드의 주소체계입니다. 프레스센터: http://www.blogwide.kr/Press 블로그뉴스: http://www.blogwide.kr/blognews 블로거리뷰: http://www.blogw..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