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포탈'에 해당되는 글 14건
- 2010.07.09 엑스티비, 판도라TV와 제휴하여 동영상 서비스 제공
- 2009.01.31 동영상 UCC 열풍이 지나간 자리... -엠앤캐스트의 추억- (6)
- 2008.12.03 엑스티비에 오버추어 컨탠츠매치광고를 게재하였습니다.
- 2008.10.30 광고 투성이인 동영상포탈!!! 그들이 살 수 있는 길은? (4)
- 2008.09.27 동영상 UCC 시장도 포탈이 강세!
- 2007.12.27 엑스티비, 동영상포탈에서 검색포탈로의 성공적인 확장오픈
- 2007.11.06 동영상포탈들은 수익을 실현하고 있을까?
- 2007.06.30 동영상 UCC 들이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2)
- 2007.05.21 UCC를 이용한 지역포탈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6)
- 2007.03.15 방송사와 동영상포탈간의 전면전이 펼쳐질까?
댓글을 달아 주세요
-
뽕따르 수정/삭제 댓글쓰기
우와~ 동영상 서비스의 역사를 한번에 정리하셨네요! 통찰력이 대단하십니다!
2009.01.31 12:34 신고
저도 엠앤캐스트를 많이 이용했었는데 이번에 일이 잘 풀렸으면 좋겠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
이오 수정/삭제 댓글쓰기
이제는 정말 다음이나 네이버 같은 포탈사이트에 동영상을 올려야겠군요...
2009.02.01 01:24 신고
역시 영원한건 없나봅니다.
아, 그리고 원본은 항상 PC에 보관하는 습관을 갖어야겠군요. -
참깨군 수정/삭제 댓글쓰기
처음에는 사람들이 동영상을 올릴때 개인 계정에 자료를 올려놓고 미디어플레이어 같은 플레이어를 웹브라우저에 연계하여 보여주는 식이었죠. ㅎㅎㅎ
2009.02.01 22:37 신고
계정비 등등 부담도 있고해서 UCC 업로드가 잘되지 않았는데, 엠엔캐스트의 무료 플래쉬 동영상 서비스가 나오자 업로드 광풍이 불어닥쳤죠.
저같은 경우 사커라인이라는 축구 게시판에서 엠엔캐스트를 처음 알게되었는데, 기존의 미플을 이용한 동영상보다 버퍼링도 적고 화질도 나쁘지 않아 상당히 놀랬었습니다.
이번 엠엔캐스트 사태를 보고나서 '어떠한 자료든지 서버 보관은 만능이 아니다'라는 것과 '원본은 삭제하지 말고 꼭 따로 보관하자' 라는 것을 다시 상기하게 되네요.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댓글을 달아 주세요
-
글이.. 수정/삭제 댓글쓰기
질문만 있고 해답은 없네요. 제안도 없고..
2008.10.30 13:29 신고
(하긴 제목자체가 질문이었으니까..)
한국에서 포탈업체가 아닌이상 클릭형 텍스트광고로 얼마나 벌수 있는지는 아실거고..
포털이 동영상 서비스를 따라잡은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아무래도 광고가 없는 부분과 기존 카페,블로그 사용자들에게 쉽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겠죠. 덕분에 동영상서비스 비용자체가 내부적으로도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걸로 압니다. 비용은 많이 드는데 수익창출이 직접적으로 일어나진 않으니..
결국 동영상 서비스 자체로 수익창출을 이루는 것은 아직까지도 어느업체도 성공하진 못했습니다. UCC가 아닌 다른 영상을 다루는 업체들-주로 해외-은 몇몇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만..
대안이 있는줄 알고 왔다가.. ㅠㅠ -
kjk 수정/삭제 댓글쓰기
ㅎㅎ 지금은 그래서 대형 포탈들의 점유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2009.03.30 16:31 신고
그리고 UCC동영상 검색엔진도 나와서 이제 판도라와 엠군은 갈길은 잃을듯..
다음과 네이버, 싸이월드 의 독식이 시작되고 있으니 걱정하지 마십시오. ^^
동영상광고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 저도 짜증나서 판도라 엠군 안갑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댓글을 달아 주세요
-
gameweek 수정/삭제 댓글쓰기
지역포탈이 실패한 이유는 지역과 밀착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느 크기의 지역을 다루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예를 들면 서울, 부산 등의 광역시는 포지셔닝이 무리고, 동대문구 정도의 포지셔닝은 괜찮을 듯 싶은데요. 동대문구의 모든 상점들 중 중요한 부분을 집중해서, 예를 들면 동대문 헌책방, 동대문 패션상가 , 제기동 한약시장 등 차별화된 정보를 내세울 수 있는 곳은 포탈 이상의 정보들을 제공하고, 그 후 대형 포탈과 연계해서 서비스 제공을 한다면 포탈을 통해 유입되는 유저를 이용해서 다양한 마케팅을 벌이는 게 괜찮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문제는 그 정보들을 생산하고 유지하는 건데 어떤 서비스가 되었든 그런 정도로 하지 않으면 당연히 실패하겠죠. 그런 각오가 아니라면 시작하지 말라고 하는게 좋을 듯합니다. 대형포탈과 경쟁하려면 그만한 차별화 요소가 있어야 하고 노력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07.05.21 15:32 신고 -
서연아빠 수정/삭제 댓글쓰기
제 생각에 지역포탈은 그 특성상 컨텐츠의 생산과 제공 그리고 접근성있어 사용자에게 질과 양 그리고 업데이트에 부분이 용이하지 못한 모델입니다. 물론 막대한 인력과 자금 그리고 업체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있다면 가능하겠지만, 이는 국가에서 공공사업으로나 가능한 일일 것 같습니다.
2007.05.23 01:58 신고
또한 그러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돌파하기 위해 일부 그러한 콘텐츠 생산이 용이한 협소한 지역에
국한된 사업은 콘텐츠의 생산과 유지 및 관리 리소스에 비해 수익성이 거의 없다 할 것입니다.
여기까지가 기존 지역포탈 사업들이 실패한 이유라 하겠습니다.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