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냥이의 웹2.0 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2009년 2월 14일(11주6일) 건강한 모습의 태양이!!! 2009년 2월 14일(11주6일): 태양이의 키가 5.4cm로 자랐습니다~ ^^ 아주 건강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아주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 다리 펴는 모습까지 보고 왔습니다. 동영상 자세히 보시면 아마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중간에 입체초음파라고 하는 것으로 찍은 장면도 있는데 정말 건강한 것 같아요~ ㅎㅎㅎ 마지막에는 태양이의 심장소리도 들을 수 있어요! *^^* 태양아!!! 건강하게 무럭무럭 자라다오!!! 더보기 깜냥닷컴에 구글검색엔진을 설치하였습니다. 깜냥닷컴이라고 하는 블로그를 운영해온지 벌써 2년이 지났습니다. 처음에 깜냥닷컴(ggamnyang.com) 이라고 하는 도메인을 구입하여 설치형 블로그로 시작했었습니다. 그러다가 티스토리로 계정을 옮겨서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그동안 써온 글들이 총 456개입니다. 물론 비공개글들도 많긴 합니다만 글들이 많아지면서 글을 찾는 것도 만만치 않은 일이 되었습니다. 제가 쓴글을 제가 찾을 려고 해도 참 힘들더라구요. 티스토리 블로그에 내장된 검색엔진의 경우 한 페이지에 10개 밖에 리스팅이 안되어서 글을 찾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태그로 관리한다고 해도 글이 많아지면서 분면 한계가 있구요... 사실 저는 태그를 글 관리 목적으로 다는 것이 아니라 검색에 많이 잡히는 키워드 위주로 달고 있었거든요... 이번에 구글.. 더보기 역시 박지성! 하지만 동네축구 수준의 한국축구! 이란의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0 남아공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B조 4차전 원정경기에서 박지성의 동점골에 힘입어 무승부를 기록했다. 경기는 지루함의 연속이었다. 별다른 긴장감도 없었고 뻥축구로 일관했다. '어쩌면 저렇게 패스가 안될까?' 사실 박지성도 마찬가지였다. 특유의 돌파나 드리블을 보여주지 못했다. 상대 수비를 헤집고 다니던 모습을 기대했었는데... 쩝... 그나마 골을 넣어서 비난은 피할 수 있을 정도... 그래도 이번 경기를 통해서 새로운 스타가 나온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축구관련 글을 쓴 것도 바로 이 선수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바로 기성용이라는 선수이다. (http://people.naver.com/DetailView.nhn?frompage=nx_p.. 더보기 최초의 시맨틱 웹 애플리케이션이라 불리는 Twine Twine(http://www.twine.com/)은 차세대 시맨틱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최초의 시맨틱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알려진 사이트이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제대로된 시맨틱웹 사이트가 나오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시맨틱웹을 경험해보기가 쉽지 않은게 사실이다. 시맨틱웹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결합한 Twine을 사용해봄으로써 시맨틱웹을 경험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여 소개한다. Twine은 Nova Spivak이라고 하는 사람이 운영하는 Rador Networks에서 구축한 시맨틱웹 서비스 사이트이다. Nova Spivak은 다음의 그림을 그려서 유명해진 사람이다. 경영학의 선구자인 Peter Drucker의 손자라고 한다. Twine의 본래 의미는 "a strong thread or string comp.. 더보기 마이스페이스의 한국시장 철수는 한국문화를 이해하지 못한 오만함의 결과이다. 세계 최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마이스페이스(http://www.myspace.com/)가 한국 시장 진출 10개월만에 철수한다고 한다. 한국어 서비스를 2월 18일부터 중단한다고 하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사이트 내 모든 메뉴와 이용자환경 등은 영어로 환원된다고... 사실 마이스페이스의 실패는 이미 예견되어 있었던 일이었다. 마이스페이스의 벤치마킹 모델이라고 알려진 싸이월드가 대한민국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큰 성공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원조 족발을 본떠서 전국망 프렌차이즈를 만들어 성공한 이후에 원조 족발의 텃밭에 족발집을 차리고 도전장을 내민 것과 같은 같은 형국이다. 마이스페이스는 원조에게 무참히 패한체 쓸쓸히 족발집을 정리하는 심정일 것이다. 중요한 것은 대한민국 .. 더보기 블로그와이드 RSS FEED를 공개합니다!!!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 RSS FEED를 업그레이드 공개합니다. 블로그와이드 자체 RSS주소가 아닌 RSS 통합관리서비스인 피드버너(www.feedburner.com)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RSS구독자수와 통계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이제 블로그와이드에서 업데이트되는 인기글과 최신글을 한RSS(www.hanrss.com), 구글리더(www.google.com/reader), 피쉬(www.3fishes.co.kr) 등의 RSS구독 서비스를 통하여 쉽게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블로그와이드 제공 RSS FEED] 프레스센터 RSS구독 블로그뉴스 RSS구독 오늘의 추천글 RSS구독 어제의 추천글 RSS구독 시사/사회 포커스 R.. 더보기 깜냥닷컴의 RSS주소입니다! 깜냥닷컴의 원 RSS주소는 http://www.ggamnyang.com/rss 입니다. 현재도 많은 분들이 원 RSS주소를 이용하여 깜냥닷컴의 새로운 글을 구독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피드버너(www.feedburner.com)에 깜냥닷컴 RSS주소를 등록하고 피드버너 RSS주소를 생성하였습니다. 앞으로는 아래의 피드버너 RSS주소를 이용하여 깜냥닷컴의 새로운 글을 구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http://feeds2.feedburner.com/ggamnyang 블로그와이드(http://www.blogwide.kr/)의 추천받은 글과 포커스에 오른 글들도 곧 피드버너 RSS주소를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블로깅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2009년 1월 블로그와이드 Best Blog Top10을 발표합니다! 안녕하세요?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 운영자입니다. 2008년 10대 뉴스 발표 관계로 2008년 12월 Best Blog는 발표하지 않았었는데, 2009년 1월 베스트블로그를 보니 순위가 많이 바뀌었습니다. '쩨바의 PC 하드웨어(http://rssoo.tistory.com/)'의 순위가 많이 하락했습니다. 2009년 1월 Best Blog Top10을 발표합니다! 제 블로그인 깜냥닷컴(http://www.ggamnyang.com/)도 4위를 차지했네요~ 처음 있는 일입니다. 그럼 즐거운 블로깅 하시기 바랍니다. 블로깅을 즐겁게 하면 순위는 자연히 오르게 됩니다. Fighting!!! 더보기 맹목적인 클라우드 컴퓨팅으로의 진화에 따른 정보의 유실 가능성에 대한 이슈제기! 인터넷이 발달하고 웹2.0이 트랜드가 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PC는 시스템이 구동될 수 있는 최소한의 프로그램만 설치하고 다른 모든 작업은 인터넷을 통하여 행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개인마다 오피스프로그램 등의 고가 프로그램을 구매하여 설치하는 번거로움없이 서버에 접속하여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원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PC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도구로 전락하게 되는 것이다. 위키피디아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위키피디아의 정의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http://ko.wikipedia.org/wiki/클라우드_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서 클라우드(Cloud, 구름)는 .. 더보기 동영상 UCC 열풍이 지나간 자리... -엠앤캐스트의 추억- 필자는 동영상 열풀이 불기 시작한 2006년, 개인 동영상 방송 서비스인 팝디제이(www.popdj.tv)를 만들었고, DMI에서 싸이월드 동영상 서비스, 파란 푸딩, 리얼오디션 등의 서비스를 구축했었다. 물론 혼자 한건 아니고... ^^; 어찌보면 동영상 열풍의 한가운데에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외적인 존재감이 전혀 없기는 했지만... ㅋㅋ 2006년부터 불기 시작한 동영상 UCC 열풍은 2007년까지 이어졌다. 사실 동영상이라는 말보다는 UCC라는 말이 더 친근할 것이다. 너, 나 할것 없이 UCC를 이야기했었으니까... 엠앤캐스트(http://www.mncast.com/)는 동영상 열풍의 진원지라고 할 수 있다. 판도라TV(http://www.pandora.tv/)가 주목을 먼저 끌기는 했.. 더보기 이전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