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깜냥이의 웹2.0 이야기!

전방군부대 체험행사 사진입니다. 2008년 8월 8일 말복에 진행했던 전방군부대 체험행사입니다. 제5사단 전차대대입니다. 국정원 안보이벤트에서 최초로 시도된 전방군부대 체험행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연병장에서 전차를 전시하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친절한 육군대위입니다. ^^ 3. 전차대대는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더군요... 재미있는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4. 말복이라고 삼계탕을 준비해주셨습니다. 군부대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최전방 군부대 체험도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후방에서 군생활을 한 저도 처음으로 전차를 만져봤으니까요... *^^* 더보기
국정원 안보이벤트 판문점 견학 사진입니다. 2008년은 국가정보원 안보이벤트와 함께 울고 웃었던 것 같습니다. 그 안보이벤트의 대미를 장식한 것이 판문점 견학행사입니다. 군시절에도 못가본 JSA(공동경비구역)를 나이 서른넷에 가보니 감개무량하더군요... ^^ 1. 판문점 전망대에서 바라본 우리측 전경입니다. 가운데 정원이 예전에는 연못이었다고 합니다. 판문점은 경계가 삼엄한 지역입니다. 지정된 장소에서만 촬영이 허락됩니다. 2. 북한측에서 공사중인 건물 앞에서 북한군이 우리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서는 손가락질을 해서는 안됩니다. 총쏘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북한측의 판문각입니다. 정문에 북한군 초병 한명이 경계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4. 전망대에서 바라면 판문점입니다. 우리측 헌병들의 모습이 보입니다. 5. 판문점.. 더보기
내손안의 재정관리 모바일가계부 출시 눈앞! 휴대폰에서 손쉽게 재정관리를 할 수 있는 모바일가계부 서비스가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2006년에 모네타(www.moneta.co.kr)에서 유무선 연동 가계부를 선보이기도 했었지만 지금은 모네타 온라인 사이트에서만 미니가계부를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사실 쇼핑하고 집에 돌아오는 버스안에서 휴대폰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가계부를 정리할 수 있다는 것이 신개념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이긴 하지만, 무리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휴대폰 파워유저가 얼마나 될지도 고려해봐야 할 것입니다. 아마도 모네타가 모바일가계부 서비스를 내놓은 시점이 너무 빠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때 당시에 휴대폰 파워유저도 많치 않았다. 특히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기혼여성의 경우는 더더욱 없었을 테고... 게다가 모.. 더보기
[리뷰이벤트] 블로그와이드를 여러분의 블로그에 소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블로그메타사이트인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 운영자입니다. 물론 깜냥닷컴 운영자 이기도 합니다. ^^ 한가위를 맞이(?)하여 블로그와이드에서 조그마한 이벤트를 준비하였습니다. 여러분의 블로그에 블로그와이드를 소개해주시면 됩니다. 선착순 10분에게 아이모리(www.imory.co.kr) 사진인화 10,000원권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가방법] 1. 여러분의 블로그에 블로그와이드를 소개하는 포스트 작성 2. 포스트 작성시 제시된 미션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작성 (200자 이상) 미션1: 포스트 본문에 블로그와이드 URL(http://www.blogwide.kr) 반드시 노출 미션2: 포스트 본문에 '메타블로그', '블로그메타사이트', '인터넷언론', '블로그와이드' 단어 반드시.. 더보기
네이버 블로그의 블로그와이드 등록 급증 이유! 최근 필자가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메타사이트인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에 네이버 블로그가 급증하고 있다.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몇일전 네이버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기 위하여 로그인 했다가 아주 신기한 것을 발견했다. 바로 네이버 블로그 포스팅하는 페이지에 메타블로그 바로가기 메뉴가 생긴 것이다. 신기하게도 경쟁사이트인 '다음블로거뉴스'도 링크를 해놓은 것이다. 네이버가 약간은 웹2.0의 공유와 개방 정신을 받아들인 것 같기도 하다. 초기 화면에는 다음블로거뉴스, 믹시, 블로그코리아, 올블로그 등의 대형 메타블로그 들이 링크되어 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더 많은 메타블로그 찾기' 버튼을 클릭해봤다. 네이버에 등록된 전체 메타블로그 리스트가 보였다. 여전히 블로그와이드는 보이지 .. 더보기
성당에 다시 나갈 생각입니다. 큰 시련을 당하고 마음이 공허합니다. 이 마음을 달래줄 수 있는 곳은 성당 뿐인 것 같습니다. 와이프 손 잡고 성당에 다닐 생각입니다. 와이프는 천주교 신자는 아니지만 같이 다니다 보면 마음이 푸근해지는 성당에 빠져들 것 입니다. 요즘 기독교를 보고 개독교니 하면서 말이 많습니다. 거기다가 이명박까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죠. 사실 기독교나 천주교나 같은 형제이기 때문에 무어라 할말은 없습니다. 저는 그저 종교라는 것이 사람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면 그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같이 각박하고 공허한 시대에... 성당에서 마음 따뜻한 사람들과 함께 하기를 기도합니다. 더보기
나이가 들면서 머리카락에 힘은 없어지고.. 아무것도 안바를 수는 없고... 제 나이 벌써 서른넷입니다. 이제 조금만 지나면 서른다섯이 되는 군요... ^^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머리카락에 힘이 없어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젤 바르면 머리가 곧게 위로 향했는데 지금은 젤을 발라도 조금 지나면 머리가 쳐집니다... ㅎㅎㅎ 정말이지... 나이 드는걸 실감하고 있죠~ 저는 그래서 젤을 포기했답니다. 대신 왁스를 바르고 있어요. 머리를 자연스럽게 스타일링해주는 느낌입니다.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제품은 케라시스옴므(http://www.kerasys.net/index.asp) 입니다. 특히 남자헤어스타일에 최적화되었다는 제품 카피가 맘에 들더군요~ 이제 남자들도 바뀌어야죠~ 외모에 관심도 가지고... ^^ 제가 쓰는 제품은 하드 세팅력으로 자연스럽고 깔끔하게 스타일링 해주는 크림왁스 하드입니.. 더보기
차세대 인터넷기술 시맨틱 웹 관련 좋은 기사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디지털데일리에서 8월 26일 부터 28일까지 연재한 기획 기사입니다. 시맨틱웹에 관련 해서 개념을 잡는데 유용할 것 같아 소개합니다. [차세대 인터넷기술 시맨틱 웹ⓛ]똑똑한 인터넷시대 열린다 컴퓨터 스스로 정보 이해 추론 가능 -->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41305 [차세세 인터넷 기술 시맨틱 웹②] 똑똑한 웹은 현재진행형 검색 자동분류 등 새로운 기술 상용화 -->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41368 [차세대 인터넷기술 시맨틱 웹③] 온톨로지, 시맨틱 웹 기술의 핵심 컴퓨터의 이해력을 높여라 -->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 더보기
구글 크롬! 엄청난 성능으로 웹브라우저 시장에 등장! 그동안의 웹브라우저 시장은 MS사가 윈도우즈 OS에 기본 탑재하여 배포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대세를 이루면서 독과점 시장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것에 대항하여 파이어폭스와 오페라가 선전 하고 있었고 구글에서 파이어폭스를 지원해주는 형태로 경쟁구도가 형성되었다. 그런데 이번에 구글에서 새로운 웹브라우저인 크롬을 내놓고 MS사와 전면전을 선포하였다. 구글은 웹2.0기업으로써 엄청난 테크놀로지를 보유하고 있는 회사이다. MS에 대적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기업에서 웹브라우저를 내 놓았으니 전면전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크롬이라는 놈의 성능이 정말 엄청나다. 필자도 오늘 설치하고 사용해 봤는데... 그 속도가 엄청나다. 실행속도 부터 해서 로딩 속도까지... 한순간에.. 더보기
똑똑한 웹 시맨틱웹의 이상! 기존의 웹사이트가 유저의 눈에 보여지는 것에만 초점을 맞췄다면, 시맨틱웹은 자동화된 기계(소프트웨어)가 해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모든 웹사이트들이 표준화된 규격에 의하여 만들어 진다면 사이트의 메타정보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사이트 자체를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블로그가 시맨틱웹을 구현한 대표적인 서비스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블로그와이드(http://www.blogwide.kr/)와 같은 메타블로그, 한RSS와 같은 RSS리더 등을 통하여 구독할 수 있는 것이다. 시맨틱웹의 기술적인 부분은 기존 웹과는 굉장히 많이 다르다. HTML이 아닌 전혀 다른 프로그램이라고 해야 할까? (어차피 유저에게 제공되는 최종 아웃풋은 HTML이긴 하지만...) XML, AJ..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