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깜냥이의 웹2.0 이야기!

레이디플러스(ladyplus.net) 오픈 여성 종합 커뮤니티인 레이디플러스(www.ladyplus.net/)가 베타 오픈하였습니다. 아내가 그누보드 게시판 프로그램으로 직접 만든 사이트입니다. 블로그와이드를 호스팅하고 있는 카페24의 가상서버에 계정을 하나 더 만들어서 구축해보라고 했습니다. 배추빌더라는 홈페이지빌더를 이용하니 이렇게 멋진 사이트가 금세 만들어지네요~ ㅎㅎㅎ 여성, 특히 육아쪽에 포커싱이 맞추어져 있다고 합니다. 그래봐야 게시판으로 만들어진 사이트죠~ ㅎㅎㅎ 아직은 초기 단계이고, 콘텐츠도 빈약하지만 여성 여러분들이 몇분 모여서 커뮤니티가 형성된다면 괜찮은 사이트로 성장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 그리고 성형이나 다이어트 관련해서 콘텐츠를 제공해주실 분도 찾고 있다고 합니다. 혹시 성형외과나 다이어트 관련 블로그 운영하시는 .. 더보기
즐거운 월급날... 그러나 10%를 국가에 헌납? 셀러리맨이 봉인가? 25일이 월급날이었다. 그런데 무슨 세금이 이리 많나? 세금이 문제가 아니라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등등... 전체 월급의 10%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셀러리맨이 무슨 봉인가? 국가제정을 셀러리맨들이 책임지나? 오늘 아침 신문을 보니 상위 10%의 연봉이 1억을 넘어섰다고 한다. 도대체 그네들은 어디에 사는 누구인가? 왜 그런 기사를 내보내서 서민들 기를 죽이는가? 그리고 왜케 세금은 악착같이 걷어가는가? 세상이 공평할 수만은 없겠지만 있는 사람을 위한 정치, 정책은 이제 그만 했으면 좋겠다!!! 더보기
영웅이 될 준비가 되었는가? 웹젠의 헉슬리!!! 새로운 진화 FPS 2.0을 모티브로한 헉슬리(http://www.huxley.co.kr)가 출시되었다. 차세대 FPS게임이라는 표현대신에 FPS2.0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웹2.0의 열풍을 이어받고 싶은 열정이 느껴진다. 웹젠에서 야심차게 내놓은 게임이어서 더욱더 흥미진진하다. 특히나 FPS의 본고장인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화제다. 최근 미국의 유력 게임전문 온라인 매체인 「IGN(www.ign.com)」은 4일간에 걸쳐 ‘헉슬리’의 게임 소개를 비롯해 동영상, 스크린샷, 제작과정 등의 특집기사를 연달아 게재했다. 회원수 약 5백만 명을 보유하고 있는「IGN」은 2005년에는 가장 방문객이 많은 웹사이트 top 200에 선정된 바 있는 영향력 있는 매체로서, 외산 게임들의 틈바구니.. 더보기
네이버 초창기 화면 캡쳐 이미지입니다. 정겹습니다. ^^ 웹서핑을 하다가 발견한 네이버 초창기 화면 캡쳐 이미지입니다. 정겹지 않나요? 그당시에 가장 유명했던 검색엔진이 심마니 아니었나요? ^^ 네이버가 이렇게 크게 될지 누가 알았을까요? 하지만... 지금의 세련된 디자인도 10년쯤 지나서 보면 촌스러워 보이겠죠? ㅎㅎㅎ 그래서 오늘 생각난 김에 네이버의 역사를 남겨볼까 합니다. 1. 네이버 초창기 화면 캡쳐 이미지 2. 2008년 3월 30일 네이버 화면 캡쳐 이미지 어떤가요? 이정도면 네이버의 역사를 기록했다고 할만하지 않은가요? ^^ 더보기
블로그 메타사이트를 운영하면서 느끼는 갈등과 고민... 웹2.0을 주제로 하여 블로그를 운영해온지 벌써 2년이 훌쩍 넘은 것 같다. 그러면서 많은 이야기를 한 것 같고, 그러면서 나 자신도 성장을 했다고 생각한다. 물론 블로깅을 하면서 많은 정보를 얻게 되었고... 블로그에 푹 빠져 살게 되었지만... ^^ 한달전쯤에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라고 하는 블로그 메타사이트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아주 간단한 메타사이트 제작 툴로 구축한 것이지만 그래도 현재는 100명 가량의 블로거가 참여한 상태이다. 솔직히 블로그와이드는 타 메타블로그와 차별성이 전혀 없다고 보아도 좋다. 단지 깜냥닷컴을 운영하는 필자가 운영하고 있고, 타 메타블로그에 돌아다니기 보다는 블로그와이드에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서비스상의 장점이 있을 뿐이다. 나 자신의 .. 더보기
게임 3종세트의 마지막... 넥슨의 워록 오랜만에 넥슨에 들어가 보니 워록(http://warrock.nexon.com) 이라고 하는 새로운 게임이 런칭을 했더라구요~ 아... 언제 런칭한지는 모르겠고, 내가 본게 런칭한겁니다~ ㅎㅎㅎ 솔직히 게임은 별로 안좋아하는 전쟁게임은 좋아하거든요~ 게임 타이틀도 거창합니다~ "한 편의 전쟁영화, WarRock" 멋지죠? 워록(Warrock)은 게임 개발 전문 회사인 드림익스큐션이 개발하고 카트라이더, 마비노기 등을 성공시킨 바 있는 넥슨이 서비스하는 신개념의 온라인 전략 FPS(First Person Shooting) 게임입니다. 실감나는 전투 장면을 구현하고 있는 워록은 게임 엔진 개발 기간에만 수 년이 소요될 정도로 높은 완성도를 가지고 있으며 탑승 장비 및 클랜 시스템 등을 통해 전략적인 플레이가.. 더보기
넥슨에서 새롭게 선보인 MMORPG게임 'SP1', 넥슨의 새로운도전! 성공할 수 있을까? 넥슨에서 새롭게 퍼블리싱한 포스트한국형 MMORPG 'Silent Plot1'입니다. SP1(http://sp1.nexon.com)이라고 간단히 부르는군요... 요즘 온라인게임 추세가 캐주얼게임은 지고 MMORPG가 뜬다는 기사를 얼마전에 보았습니다. 사실 카트라이더가 성공한 이후 수많은 캐주얼 게임들이 등장했지만 기대이하였죠~ 아무래도 MMORPG 게임 자체가 엄청난 제작비를 투입한 대작이기 때문에 퀄리티면에서는 게임이 되지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번에 넥슨에서 선보인 'SP1'은 개발사 실버포션이 제작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입니다. '포스트 한국형 MMORPG'를 표방하는 이 게임은 2차대전 후 재건기를 맞은 유럽전역을 무대로 하고 있는데요... 이용자가 '이모탈'이라는 불사의 존재가 .. 더보기
엔씨소프트에서 새롭게 선보인 온라인전략게임 포인트 블랭크입니다. 엔씨소프트에서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온라인 전략게임(FPS게임) 포인트 블랭크(http://pb.plaync.co.kr) 입니다. 어떤 게임인지 궁금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함 해봤습니다. 포인트 블랭크는 총이 발사되거나 주변 사물에 맞아 나타나는 화려한 이펙트, 총알이 맞는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전장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실제 같은 사운드 효과음, 여기에 살아있는 듯 계속 움직이며 역동적인 느낌을 연출하는 스테이지까지 함께 어우러진 게임입니다. 극한의 타격감!!! 전율입니다. 눈과 귀를 즐겁게 하고 심장을 뛰게 하는 제대로 된 ‘손맛’이라고나 할까요? ^^ 아무래도 온라인 전략게임이다 보니 컴퓨터 사양이 조금 되어야 하더군요... 함 참고하시고... 우선 게임 프로그램.. 더보기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가 엠파스, 네이트에 등록되었습니다. 블로그 메타사이트인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가 엠파스, 네이트에 등록되었습니다. 엠파스, 네이트가 통합되면서 엠파스에만 등록되면 네이트에도 동시에 노출이 되어 아주 좋군요~ ^^ 현재까지 파란, 야후, 엠파스, 네이트 등에 등록이 완료되었고 다음, 네이버가 남았군요... 두 공룡 포탈들이 조금만 마음을 열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ㅎㅎㅎ 그런데 좀 신기한건... 파란, 야후에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가 등록되었을 때는 별다른 효과가 없었는데... 아니, 거의 전무했었는데... 엠파스, 네이트에 등록이 된 이후 무료 12개의 블로그가 추가로 등록되었습니다. 많은 블로거 분들이 참여해주신 거죠~ 확실히 파란, 야후보다는 엠파스, 네이트가 월등한 것 같습니다. 다음, 네이버 등.. 더보기
올블릿에 CPC광고가 사라진 것인가? 예전에 올블릿을 잠깐 사용한 적이 있어서 알고 있는 내용인데... CPC형태의 광고가 있어서 클릭당 50원씩 적립되었었습니다. 현재 확인해보니 총 1,200원... ㅋㅋ 좀 민망한 수치이군요... 그런데 블로그메타사이트인 블로그와이드(www.blogwide.kr)에 올블릿을 설치해봤는데... CPC광고가 사라진 것 같습니다. 옥션 상품만 뜨고... 이건 CPS광고이기 때문에 클릭하고 구매가 이루어져야만 수익이 발생하는 형태잖아요? 올블릿 통계를 보니 3월 14일 이후로 노출자체가 없는 걸로 나오는군요... 올블릿 CPC광고가 사라진건가요? 아님 광고주가 부킹이 안되어서 잠시 보류하고 있는 건가요? 궁금하네요... 이것이 올블로그의 한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