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 브랜드 제품을 유통하는 현지 업체라면서 악성코드 보내는 신종 스미싱 수법 메일을 확인하는 중에 BIKE ZONE 본사에서 보낸 이메일을 확인했다. 요즘은 이메일을 대부분 업무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당연히 업무 메일인줄 알았다. 한국 브랜드 제품을 필리핀과 말레이시아에 유통하는 현지 업체라고 했다. 최근 귀사 제품을 알게 되어 소량 테스트 형태로 먼저 협의해보자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첨부 파일이 zip 압축 파일로 되어 있었다. 의심이 들었다. 원래대로라면 다운로드 받아서 압축을 해제했겠지만 혹시 몰라 압축 파일을 눌러 보았다. 파일을 눌러 보면 다음 메일 내에서 일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랬더니 다음 메일에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는 경고 메시지가 떴다. 대용량 첨부파일에서 악성코드가 감지되었다는 것이다. 악성코드명이 Infostealer/Win.Rhadamant.. 더보기 구글 세이프 브라우징! 어디까지 믿을 수 있나?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에서는 세이프 브라우징 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악성코드를 배포하는 사이트를 사전에 알려주어 사이트에 방문하는 사용자에게 주의를 주는 기능이다. 구글에서 이야기하는 악성코드란... 일반적으로 보안이 취약하여 해커가 사이트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이트가 감염됩니다. 해커는 사이트의 콘텐츠를 변경(예: 스팸 추가)하거나 대개 사용자를 속여 개인 및 신용카드 정보를 빼내는 피싱(Phishing) 페이지를 사이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또는 페이지를 표시하는 컴퓨터를 공격하는 다른 웹사이트에서 콘텐츠를 가져오는 스크립트 또는 iFrame 등의 악성코드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악성코드'라는 용어에는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피해를 주기 위해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포함됩니다. 악성코..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