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공식 블로그에서 검색의 역사를 설명한 글이 있어 소개합니다.
검색의 진화
외국 검색 사이트와 달리 한국의 사이트는 독특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웹 검색이라는 이름으로 검색결과를 나열하는 외국과 달리, 한국은 이미지, 뉴스, 사이트, 웹문서 등 특성에 따라 검색결과를 구분해 한 페이지에 보여주는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얼마 전에는 세계 최대의 검색엔진인 구글이 기존 웹 검색 방식의 검색 서비스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통합검색과 기본원리가 비슷한 ‘Universal Search’를 선보여, 한국의 통합검색은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통합검색 서비스를 7년 전, 네이버가 최초로 선보였다는 사실, 혹시 알고 계신가요?
네이버 세계 최초 통합검색을 선보이다!
네이버가 통합검색을 시작하게 된 이유는 한국의 웹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네이버가 처음 검색서비스를 시작할 당시 국내 웹 환경은 몇 십억 건의 사이트에서 원하는 문서를 빠르게 찾아주기 위해 검색엔진끼리 서로 경쟁하던 영어권 환경과는 많이 달랐습니다. 네이버가 정식으로 서비스를 선보인 1999년, 한국 웹사이트 개수는 5만 개에 불과했습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1999년 6월) 특히, 검색에 유용한 정보를 포함한 웹 사이트로 제한한다면 그 수는 더욱 적었습니다. 한 마디로, 검색 서비스는 있지만, 검색할 사이트가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열악한 한국의 웹 환경에 비해 초고속인터넷과 PC 등 한국의 인터넷 서비스 인프라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이용자들의 검색욕구도 점차 다양화되었습니다. 네이버는 이런 변화 속에서 사이트나 웹문서 위주의 검색엔진으로는 이용자들의 다양한 검색욕구를 따라갈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통합검색이 출시될 당시 네이버 첫 화면입니다. 지금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죠?
실시간급상승검색어의 초기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인기검색어 서비스 ‘넥서치 베스트50’도 눈에 띕니다.
또한, 네이버는 당시 많이 입력되던 ‘핑클’이라는 검색어에는 멤버들의 프로필을 알고 싶어하거나, 사진을 보고 싶어하거나, 팬 카페에 가입하고 싶어하는 등 이용자들의 다양한 검색의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네이버는 이용자들이 검색 서비스로부터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사이트’를 찾는 것이 아닌, ‘정보’를 찾아주는 것에 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네이버는 2000년 8월 기존의 사이트 위주의 검색 서비스를 벗어나, 검색결과를 ‘웹문서’, ‘사이트’, ‘사전’, ‘뉴스’, ‘블로그’ 등 정보가 가지는 특성에 따라 보여주는 통합검색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선보였습니다.
현재 네이버 통합검색은 지식iN, 카페/블로그, 사전, 이미지, 동영상, 음악, 뉴스, 지역, 책, 쇼핑, 내PC 등 다양한 콜렉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키워드별로 어떤 정보를 가장 많이 찾는지를 계산해, 콜렉션이 노출되는 순서가 자동적으로 달라지는 Collection Ranking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환경오염과 관련된 두 개의 키워드에 대해 네티즌들은 어떤 콜렉션에 위치한 검색결과를 많이 볼까요?
‘몬트리올의정서’는 백과사전, 블로그 ,지식iN 순으로 통합검색결과가 노출되는데 반해, ‘엘니뇨’의 경우 지식iN, 사이트, 사전 순으로 통합검색결과가 노출되고 있습니다. ^^
Q&A 검색 서비스, 기억 나세요?
네이버가 통합검색을 처음 선보일 당시, 독특한 서비스를 함께 제공했는데요, Q&A 검색 서비스가 바로 그 것입니다.
네이버가 통합검색을 선보이면서 함께 국내에 최초로 소개한 Q&A 검색 서비스 화면입니다.
네티즌이 입력한 검색어에 대해, 한번 더 정교한 질문을 던져,정확하게 원하는 사이트 또는 정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던 서비스였습니다.
Q&A 검색 서비스는 이용자의 의도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추가 질문을 검색결과 상단에 보여줌으로써,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빨리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분당 버스’라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버스노선 정보를 볼 수 있는 사이트는?”, “경기 지역 시내버스 노선을 알 수 있는 방법은?”, “분당 지역정보를 알 수 있는 사이트는?” 등 다양한 추가 질문을 보여주었습니다.
Q&A 검색 서비스는 지금은 제공되고 있지 않지만, ‘검색어 자동완성’이나 ‘연관검색어’ 등 검색어 추천 서비스로 진화되어, 더욱 정확한 정보나 추가 정보로 이용자들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통합검색은 기술적, 서비스적으로 끊임없는 발전과정을 거쳐왔습니다. 또한, 국내의 부족한 웹문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제휴 협력도 계속됐습니다. 두산동아백과, 통계청, 국세청, LG경제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등 전문자료 보유기관과 제휴를 맺고 고급 디지털 정보를 검색에 반영했던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한국의 통합검색, 이젠 세계로!
네이버 통합검색 넥서치 탄생 당시 인쇄 광고 자료입니다.
내 생각대로 찾아준다!는 네이버 검색의 목표는 아직도 변함없이 NHN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답니다.
통합검색의 모델이 구글의 ‘Universal Search’, 지식검색의 모델이 야후의 ‘Answers’서비스에 시차를 두고 각각 구현됐듯이 한국의 인터넷 서비스가 세계에서도 인정받고 있는 것은 기분 좋은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NHN은 이에 자만하지 않고 더 진화된 통합검색과 지식검색 모델을 연구, 개발해나갈 예정입니다.
더욱이 올해는 일본 시장에 네이버가 첫발을 내딛는 의미 깊은 해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앞으로도 NHN이 선보이게 될 네이버 검색의 발전된 모습과 함께, 일본 시장에서의 선전을 기대해주세요! ^^
감사합니다.
검색의 진화
인터넷에 검색엔진이 등장한지 어느덧 10년이 지났습니다. 이 기간 동안 정보를 찾고자 하는 이용자들의 검색욕구는 커졌고, 검색의 대상이 되는 정보 역시 다양해졌습니다. 또한 검색 서비스 역시 이용자들의 검색욕구에 맞춰 끊임없이 진화해왔습니다. 한국의 검색 서비스도 현재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지난 10여 년 간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이제, 검색 서비스는 ‘우리 동네 치과 중 이 안 아프게 뽑는 곳은?’ 이라는 질문부터, ‘핫 이슈를 표현할 때 왜 뜨거운 고구마라고 하지 않고, 뜨거운 감자라고 할까’라는 다소 엉뚱한 궁금증까지 해결해주는 유용한 도구로 생활 깊숙이 자리잡았습니다. | |
이제 탄생 7년째에 접어든 네이버 통합검색. 한국의 검색 서비스 표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
외국 검색 사이트와 달리 한국의 사이트는 독특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웹 검색이라는 이름으로 검색결과를 나열하는 외국과 달리, 한국은 이미지, 뉴스, 사이트, 웹문서 등 특성에 따라 검색결과를 구분해 한 페이지에 보여주는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얼마 전에는 세계 최대의 검색엔진인 구글이 기존 웹 검색 방식의 검색 서비스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통합검색과 기본원리가 비슷한 ‘Universal Search’를 선보여, 한국의 통합검색은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통합검색 서비스를 7년 전, 네이버가 최초로 선보였다는 사실, 혹시 알고 계신가요?
네이버 세계 최초 통합검색을 선보이다!
네이버가 통합검색을 시작하게 된 이유는 한국의 웹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네이버가 처음 검색서비스를 시작할 당시 국내 웹 환경은 몇 십억 건의 사이트에서 원하는 문서를 빠르게 찾아주기 위해 검색엔진끼리 서로 경쟁하던 영어권 환경과는 많이 달랐습니다. 네이버가 정식으로 서비스를 선보인 1999년, 한국 웹사이트 개수는 5만 개에 불과했습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1999년 6월) 특히, 검색에 유용한 정보를 포함한 웹 사이트로 제한한다면 그 수는 더욱 적었습니다. 한 마디로, 검색 서비스는 있지만, 검색할 사이트가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열악한 한국의 웹 환경에 비해 초고속인터넷과 PC 등 한국의 인터넷 서비스 인프라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이용자들의 검색욕구도 점차 다양화되었습니다. 네이버는 이런 변화 속에서 사이트나 웹문서 위주의 검색엔진으로는 이용자들의 다양한 검색욕구를 따라갈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통합검색이 출시될 당시 네이버 첫 화면입니다. 지금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죠?
실시간급상승검색어의 초기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인기검색어 서비스 ‘넥서치 베스트50’도 눈에 띕니다.
또한, 네이버는 당시 많이 입력되던 ‘핑클’이라는 검색어에는 멤버들의 프로필을 알고 싶어하거나, 사진을 보고 싶어하거나, 팬 카페에 가입하고 싶어하는 등 이용자들의 다양한 검색의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네이버는 이용자들이 검색 서비스로부터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사이트’를 찾는 것이 아닌, ‘정보’를 찾아주는 것에 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네이버는 2000년 8월 기존의 사이트 위주의 검색 서비스를 벗어나, 검색결과를 ‘웹문서’, ‘사이트’, ‘사전’, ‘뉴스’, ‘블로그’ 등 정보가 가지는 특성에 따라 보여주는 통합검색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선보였습니다.
현재 네이버 통합검색은 지식iN, 카페/블로그, 사전, 이미지, 동영상, 음악, 뉴스, 지역, 책, 쇼핑, 내PC 등 다양한 콜렉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키워드별로 어떤 정보를 가장 많이 찾는지를 계산해, 콜렉션이 노출되는 순서가 자동적으로 달라지는 Collection Ranking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환경오염과 관련된 두 개의 키워드에 대해 네티즌들은 어떤 콜렉션에 위치한 검색결과를 많이 볼까요?
‘몬트리올의정서’는 백과사전, 블로그 ,지식iN 순으로 통합검색결과가 노출되는데 반해, ‘엘니뇨’의 경우 지식iN, 사이트, 사전 순으로 통합검색결과가 노출되고 있습니다. ^^
Q&A 검색 서비스, 기억 나세요?
네이버가 통합검색을 처음 선보일 당시, 독특한 서비스를 함께 제공했는데요, Q&A 검색 서비스가 바로 그 것입니다.
네이버가 통합검색을 선보이면서 함께 국내에 최초로 소개한 Q&A 검색 서비스 화면입니다.
네티즌이 입력한 검색어에 대해, 한번 더 정교한 질문을 던져,정확하게 원하는 사이트 또는 정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던 서비스였습니다.
Q&A 검색 서비스는 이용자의 의도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추가 질문을 검색결과 상단에 보여줌으로써,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빨리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분당 버스’라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버스노선 정보를 볼 수 있는 사이트는?”, “경기 지역 시내버스 노선을 알 수 있는 방법은?”, “분당 지역정보를 알 수 있는 사이트는?” 등 다양한 추가 질문을 보여주었습니다.
Q&A 검색 서비스는 지금은 제공되고 있지 않지만, ‘검색어 자동완성’이나 ‘연관검색어’ 등 검색어 추천 서비스로 진화되어, 더욱 정확한 정보나 추가 정보로 이용자들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통합검색은 기술적, 서비스적으로 끊임없는 발전과정을 거쳐왔습니다. 또한, 국내의 부족한 웹문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제휴 협력도 계속됐습니다. 두산동아백과, 통계청, 국세청, LG경제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등 전문자료 보유기관과 제휴를 맺고 고급 디지털 정보를 검색에 반영했던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한국의 통합검색, 이젠 세계로!
네이버 통합검색 넥서치 탄생 당시 인쇄 광고 자료입니다.
내 생각대로 찾아준다!는 네이버 검색의 목표는 아직도 변함없이 NHN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답니다.
통합검색의 모델이 구글의 ‘Universal Search’, 지식검색의 모델이 야후의 ‘Answers’서비스에 시차를 두고 각각 구현됐듯이 한국의 인터넷 서비스가 세계에서도 인정받고 있는 것은 기분 좋은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NHN은 이에 자만하지 않고 더 진화된 통합검색과 지식검색 모델을 연구, 개발해나갈 예정입니다.
더욱이 올해는 일본 시장에 네이버가 첫발을 내딛는 의미 깊은 해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앞으로도 NHN이 선보이게 될 네이버 검색의 발전된 모습과 함께, 일본 시장에서의 선전을 기대해주세요!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