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앱스토어 결제 정책인 IAP(In App Purchase)를 도입하고 운영방침을 강화하면서 앱 개발사 및 콘텐츠 유통 업계에서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애플은 앱스토어 내 디지털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자체 결제 모듈만 이용하도록 하는 운영방침을 마련하여 관련 업체에 전달했다. 이에 따르지 않으면 앱스토어 등록을 거절하거나 이미 등록된 앱이라면 통보 없이 앱스토어에서 삭제하겠다는 방침이다.
애플이 휴대폰결제 등의 앱 외부 결제방식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도는 유료 앱 판매시 발생하는 30%의 수수료를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서도 확대 적용하면서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장까지 장악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자체 결제 시스템을 통해 전자책 등의 콘텐츠를 판매해 왔던 국내 전자책 업체들이 더 이상 같은 방식으로 서비스를 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전자책 판매를 통한 유통마진이 적은데다 그마저도 애플과 나눠 갖게 된다면 남는 것이 없다는 게 그들의 판단이다.
하지만 수수료는 문제의 핵심이 아니다. 다른 마켓에서도 비슷한 수수료가 책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앱스토어에서 앱을 무료로 다운받게 하고 우회 결제를 통해 과금하게 하는 방식을 취할 경우 애플에게는 수익이 전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애플 입장에서는 취할 수 있는 당연한 조치를 취했다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애플이 앱스토어를 운영하는 데는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서버관리비, 인건비, 마케팅비 등이 들어가기 때문에 어찌되었건 앱 판매를 통해 매출을 올려야 하는 입장인 것이다. 이는 플랫폼의 권리라 할 수 있다.
애플의 입장을 생각해 본다면 일견 IAP 정책이 타당해 보인다. 결국 IAP 정책에 발맞추어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장의 구조가 바뀌거나 모바일 웹, 혹은 뷰어를 통해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환 등의 자구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물론 애플 IAP 정책은 자신이 속해 있는 산업군에 따라 입장차이가 극명하기 때문에 많은 이견이 있을 수 밖에 없는 뜨거운 감자다.
하지만 애플의 IAP 정책이 타당하다 하더라도 애플의 폐쇄적 운영과 잦은 가이드라인 변경은 비난 받아 마땅하다. 앱스토어는 플랫폼이다. 이미 이 시대를 지배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거래 플랫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라는 플랫폼으로 한 시대를 풍미했듯이 애플은 아이폰과 iOS를 통하여 이 시대의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iOS의 경우 타 마켓의 진입을 아예 허용하고 있지 않고 있어 앱스토어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기 때문에 지극히 폐쇄적인 구조라 할 수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아이폰이 가장 인기 높은 스마트폰이기 때문에 그곳에 애플리케이션을 유통시키기 위해서는 앱스토어에 목을 매야 하는 처지인 것이다.
이와 같이 폐쇄적인 운영도 문제지만 잦은 가이드라인 변경도 문제다. 가이드라인이 수시로 변경되면서 앱 개발사나 콘텐츠 유통 업계에서는 애플의 앱 승인을 기다리다가 속이 까맣게 타 들어 가고 있다. 특히 가이드라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주관적인 해석이 개입될 여지가 많다는 점도 시장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요인이다. 결국 애플의 주관적인 결정만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는 플랫폼의 횡포라 할 수 있다.
앞에서도 강조했지만 앱스토어는 플랫폼이다. 플랫폼은 공급자와 수요자가 만나는 장이다. 장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큰 틀 안에서 플랫폼 사업자가 횡포를 부려도 부려야 할 것이고, 권리를 행사해도 해야 할 것이다. 결국 플랫폼은 상생의 구조가 만들어져야만 성공할 수 있다. 만약 이것을 망각하고 횡포를 일삼는다면 플랫폼은 오래 가지 못할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 본글은 베타뉴스 칼럼 기고글입니다.